반응형

정조의 화성 행차에 한강배다리를 설치한 곳이 주교사라 해서 관심이 갔었는데 마침 용양봉저정을 방문할 때 그 앞 보도에 주교사 터가 있어서 일찍부터 알고 있던 표석이다. 이 일대는 어릴 때 참 많이도 걸어다녔던 곳인데 커서 이곳을 답사한다고 서너차례 다녀보니 새삼 어릴 적 생각이 떠올라 입가에 웃음기가 어린다. 그 앞쪽에 노량진수원지라 해서 정수장이 있었는데 지금은 노들나루공원이 자리하고 있다. 정수장은 지하로 들어갔는지  확인해 보지는 않았다.

 


▣ 주교사(舟橋司)

 

1789년(정조 13)에 설치한 준천사(濬川司)의 산하 관서.
선박·교량 및 호남·호서지방의 조운(漕運) 등에 관한 사무를 관할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한강은 강 폭이 넓고 수심이 깊어 강남과 강북을 내왕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그리하여 한강에는 일찍부터 한강진(漢江津)·노량진(露梁津)·송파진(松坡津)·광진(廣津) 등의 나루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국왕이나 국장(國葬)행렬이 안전하게 강을 건널 수 없다는 문제 때문에 연산군 때 배다리[舟橋]를 놓았다. 조선 후기에도 간혹 배다리가 가설되었다. 특히 정조가 온양온천과 선릉(宣陵)·정릉(靖陵)·장릉(章陵)에 갈 때 노량진에, 그리고 헌릉(獻陵)·영릉(英陵)·영릉(寧陵)에 갈 때 광나루에 배다리를 놓았다.
1789년(정조 13)에는 왕명에 따라 이를 전담하는 상설기구로 주교사를 설치했다. 이 때 왕은 친히 『주교지남(舟橋指南)』을 제정해 그 운영에 불편이 없도록 했다. 주교사의 관원은 도제조 3인, 제조 6인, 낭청 3인을 두었는데, 대개 준천사의 관원이 겸임하였다.
국왕이 강을 건널 때는 유도장신(留都將臣) 중에서 주사대장(舟師大將)을 임명하였다. 필요한 경비는 영남 별회곡(別會穀) 2,000석과 호남·호서 지방의 세곡을 운반하고 받는 비용으로 충당하였다.
배다리 가설에는 경강선(京江船) 수백 척과 격군(格軍) 1,000명이 동원되었다. 이를 단속하기 위하여 3선(船)을 1종(䑸), 5종을 1영(領)으로 삼아 각기 영장(領將)을 두어 지휘하게 하였다. 한편, 각 선박에는 두 개의 기를 꽂고, 한쪽에는 종선(䑸船)의 차례를, 다른 한쪽에는 물흐름의 형상을 그려서 표시하도록 했다.
주교사에서는 배다리를 원활하게 가설하기 위해 1793년 36개조의 『주교사절목( 舟橋司節目)』을 제정하였다. 후에 조성된 주교선은 교배선(橋排船) 38척, 좌우호위선 12척, 난간선(欄干船) 240척이었다. 1882년(고종 19)에 폐지하고 그 사무를 금위영(禁衛營)에 이관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 주교사 터(舟橋司址)

▼ 주교사 터(舟橋司址)

▼ 주교사 터(舟橋司址)... 노들나루공원 건너편에 위치한다.

▼ 주교사 터(舟橋司址)

▼ 주교사 터(舟橋司址)... 한강대교 남단에 위치

▼ 주교사 터(舟橋司址).. 용양봉저정 복원사업으로 예전 노량진1동주민센타 출장소가 헐리고 한창 복원 공사중에 있다.

 

주교사는 준천사 산하 관서이다. 준천사에 대해 알아본다.

▣ 준천사(濬川司)

 

조선 후기 도성 안의 개천 준설과 도성 안의 4개 산의 보호를 담당하던 관청.
조선왕조의 한양 천도시 개천은 토사의 퇴적이 심하고, 민간에서 흘러나오는 하수로 불결했으며 여름이 되면 침수가 심했다. 따라서 1411년(태종 11) 개거도감을 설치하여 하폭을 넓히며 제방을 쌓고 다리를 놓는 등 큰 배수로를 설치했다. 세종 때에는 개천에서 토사와 오물을 쳐냈으며, 개천에 오물을 버리지 않도록 했다.
그러나 도성 안의 주민들은 이를 잘 지키지 않았고, 중앙에서는 개천 치는 일을 소홀히 하여 조선 중기에는 퇴적물과 오물로 개천이 막히고 악취도 매우 심했다. 또한 모래와 자갈이 밀려들어 하상이 높아져 큰 비가 오면 쉽게 범람했다. 그리하여 1760년(영조 36)에 임시로 준천소를 설치해 하천과 교량을 준설·보수했다. 그리고 민호가 하천을 개간함으로써 수로를 막거나, 수로에 둑을 쌓아 막아놓고 그곳을 거주지나 창고로 사용하는 일을 법으로 금지했다.
이어 준천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준천사를 정식기구로 설치해 정기적으로 개천을 쳐내어 제방공사를 하게 하고, 도성 안의 백악산·인왕산(仁旺山)·목멱산(木覓山:지금의 남산)·낙산 등 네 산의 보호도 맡아보게 했다. 관원으로는 현직 3의정(議政)이 겸하는 도제조 3명과 병조판서·한성부판윤·훈련대장·금위대장·비변사·어영대장이 겸하는 제조 6명, 어영청의 천총이 겸하는 도청 1명, 삼도(三道)의 참군이 겸하는 낭청 3명을 두었다. 1789년(정조 13) 임금이 거둥할 때 한강에 부교 놓는 일과 양호(兩湖)의 조운(漕運) 등을 맡아보는 주교사(舟橋司)를 부설기관으로 설치했다. 1882년 주요업무가 청계천 공사라 하여 한성부에 통합되었다.
<다음백과에서 인용>

 

▼ 준천사 터

▼ 주교사 터(舟橋司址) 위치

▼ 주교사 터(舟橋司址) 위치

 

 

728x90
반응형
Posted by 이방인야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