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월출산 (月出山) 도갑사 (道岬寺)

 

전라남도에는 큰 사찰이 많다. 그런데 답사를 여러번 했지만 못가본 곳이 몇 군데 있다. 마음 먹고 찾지 않으면 매번 그냥 지나치게 되어 이번에는 맘 먹고 찾은 곳이 도갑사이다. 
도갑사는 월출산에 있으면서 도선국사 설화가 전해지는 곳이다. 이번 코로나 시국 때문에 개인적으로 시간도 좀 나고 해서 답사를 많이 하고 있는데 성보박물관이나 실내는 바이러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문을 굳게 닫아놓은 상태다. 한 번 오기도 힘든데 많이 아쉬움이 남는다.
영암은 10여년 전에 이곳을 거쳐 강진으로 갔었는데 그때도 도갑사, 왕인박사 유적지를 지척에 두고도 못갔다. 이번에도 도갑사는 찾았으나 왕인박사 유적지는 방문 몇일 전에 그 지역에 코로나 환자가 발생해서 임시 휴관 상태였다. 
도갑사에는 많은 국보, 보물 유물이 존재한다. 그런데 절 내력을 읽어보고 깜짝 놀랐다. 1977년에 커다란 화재가 발생해서 국보인 해탈문과 명부전을 제외한 모든 당우가 전소되었다고 나온다. 천만다행으로 국보인 해탈문은 화마를 피했다는데 다시금 생각해봐도 아찔한 생각이 든다.  
지금 우리나라 사찰을 자주 찾아보고 있는데 대부분의 사찰들의 건물들이 목조건물로 되어있다. 많은 자료들을 보노라면 우리나라에서 크고 작은 전란이 많았는데 그때마다 사찰의 당우들이 전란에 휘말려 불에 탄 경우가 너무 많았다. 특히 6.25때는 전쟁 중에 교전에 의해 불에 탄 것이 아니라 아군의 작전상 일부러 불을 지른 경우도 상당히 많다. 얼마전에 다녀온 오대산 월정사도 6.25때 아군 작전상 절을 불태웠다고 나와 있었다. 요즘에는 절을 하나 짓는 것도 힘들이지 않고 목재를 조달해서 짓는 것으로 보이는데 화재에 취약한 목조 건축을 한번쯤은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
참 오랜만에 찾은 도갑사는 감흥을 주기에 충분했다. 대웅전 앞에서 바라본 주지봉과 능선들이 멋져 보였고 도선국사수미선사비가 있는 계곡도 시원한 물소리 바람소리가 좋았다.  도선국사가 이 고장에서 출생하다보니 인근의 유명한 사찰들도 도선국가 창건 설화가 전해지는 곳이 많다. 화순의 운주사도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천불천탑  운주사(雲住寺)  답사기  바로가기

 

월출산 (月出山)
 
전라남도 기념물 제3호. 강진군과 영암군을 경계로 동쪽으로는 장흥, 서쪽으로는 해남, 남쪽으로는 완도를 비롯한 다도해를 바라보는 곳에 있는 월출산은 천황봉을 최고봉으로 하여 구정봉, 사자봉, 도갑봉, 주거봉 등 깎아지른 듯한 기암절벽이 많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신라 때에는 월나산(月奈山), 고려 때에는 월생산(月生山)이라 불렸다고한다.
 월출산은 그 아름다움으로 인하여 예로부터 많은 시인들의 칭송을 들어왔는데, 고려시대 시인 김극기는 “월출산의 많은 기이한 모습을 실컷 들었거니, 그늘지며 개고 추위와 더위가 서로 알맞도다”라고 예찬을 하였다. 조선시대 시인 김시습은 “남쪽 고을의 한 그림 가운데 산이 있으니, 달은 청천에서 뜨지 않고 이 산간에 오르더라”하고 노래하였다.
 도갑사와 무위사가 있고 구정봉으로 오르는 산기슭 중턱에 마애여래좌상(국보 제144호)이 있다. 북쪽에 용추폭포, 동쪽에 구절폭포, 남쪽에 금릉경포대가 아름다운 경치를 간직하고 있다. 월출산의 특산물로는 궁중 진상품으로 이름났던 참빗과 산란기인 3∼5월에 잡은 숭어의 알, 별미의 세(細)발낙지·짱뚱어 요리가 있어 아름다운 산세와 더불어 중요한 관광자원이 되고 있다.<문화재청>



도갑사 (道岬寺)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신라 말 국사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 원래 이곳에는 문수사(文殊寺)라는 절이 있었으며 도선이 어린 시절을 보냈던 곳이다.
전설에 의하면, 도선의 어머니 최씨(崔氏)가 빨래를 하다가 물 위에 떠내려 오는 참외를 먹고 도선을 잉태하여 낳았으나 숲속에 버렸다. 그런데 비둘기들이 날아들어 그를 날개로 감싸고 먹이를 물어다 먹여 길렀으므로 최씨가 문수사 주지에게 맡겨 기르도록 하였으며, 장성한 그가 중국을 다녀와서 문수사 터에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 뒤 1456년(세조 2) 신미(信眉)와 수미(守眉)가 중건하여 전부 966칸에 달하는 당우가 들어섰으며, 부속암자로 상동암(上東庵)·하동암·남암(南庵)·서부도암(西浮屠庵)·동부도암·미륵암(彌勒庵)·비전암(碑殿庵)·봉선암(鳳仙庵)·대적암(大寂癌)·상견암(上見庵)·중견암·하견암 등이 있었다.
최근에는 1977년 명부전과 해탈문을 제외한 전 당우가 소실되었으나, 1981년 대웅보전 복원을 시작으로 점차 옛 전각에 대한 복원불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보전(大雄寶殿)·명부전(冥府殿)·미륵전(彌勒殿)·국사전(國師殿)·해탈문(解脫門)·일주문 및 요사인 세진당(洗塵堂)이 있다.
이 중 국보 제50호로 지정된 도갑사 해탈문은 1473년(성종 4)에 중건하였으며, 좌우에 금강역사상이 안치되어 있다. 또, 미륵전 안에는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보물 제89호인 석조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보물 제1134호로 지정된 도갑사소장 동자상이 있다.
이밖에도 대웅보전 앞과 뒤에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1호인 오층석탑 및 삼층석탑 등 고려시대의 석탑 2기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된 도선·수미의 비가 있다. 이 중 도선·수미비는 비문에 의하면 1636년(인조 14)에 건립을 시작하여 1653년(효종 4)에 완성한 것으로, 조각의 솜씨와 비문의 필치가 섬세하고 우수하여 주목을 끈다.
또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로 지정된 수미왕사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0호로 지정된 석조(石槽)가 있다. 이 절의 주위에는 국보 제144호로 지정된 월출산마애여래좌상을 비롯하여, 도선이 디딜방아를 찧어 도술조화를 부렸다는 구정봉(九井峰)의 9개 우물, 박사 왕인(王仁)이 일본에 건너간 것을 슬퍼한 제자들이 왕인이 공부하던 동굴입구에 새겼다는 왕인박사상 등이 있다. 절일원이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로 지정되어 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월출산, 도갑사 전경<문화재청>

 

문화재지정 국보 제50호
문화재명칭 영암 도갑사 해탈문 (靈巖 道岬寺 解脫門)
소재지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306
관리자(연락처) 도갑사 (道岬寺)

 

영암 도갑사 해탈문 (靈巖 道岬寺 解脫門) 국보 제50호
 
도갑사는 월출산에 있는 절로, 신라말에 도선국사가 지었다고 하며 고려 후기에 크게 번성했다고 전한다. 원래 이곳은 문수사라는 절이 있던 터로 도선국사가 어린 시절을 보냈던 곳인데, 도선이 자라 중국을 다녀온 뒤 이 문수사터에 도갑사를 지었다고 한다. 그 뒤, 수미·신미 두 스님이 조선 성종 4년(1473)에 다시 지었고, 한국전쟁 때 대부분의 건물이 불에 타 버린 것을 새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절에서 가장 오래된 해탈문은 모든 번뇌를 벗어버린다는 뜻으로,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이며, 절의 입구에 서 있다. 좌우 1칸에는 절 문을 지키는 금강역사상이 서 있고, 가운데 1칸은 통로로 사용하고 있다. 건물 위쪽에는 도갑사의 정문임을 알리는 ‘월출산도갑사(月出山道岬寺)’라는 현판이 걸려 있으며, 반대편에는 ‘해탈문(解脫門)’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영암 도갑사 해탈문은 우리 나라에서 흔하게 볼 수 없는 산문(山門)건축으로, 춘천 청평사 회전문(보물 제164호)과 비교되는 중요한 건물이다.<문화재청>

 

▼ 월출산 (月出山) 도갑사 (道岬寺) 일주문

▼ 월출산 (月出山) 도갑사 (道岬寺) 입구에 약450년된 팽나무...

▼ 월출산 (月出山) 도갑사 (道岬寺) 해탈문(국보 제50호)

▼ 월출산 (月出山) 도갑사 (道岬寺) 해탈문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바라본 모습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 (靈巖 道岬寺 木造文殊·普賢童子像) 보물 제1134호
 
신라말 도선이 창건한 도갑사 해탈문 안에 있는 목조동자상이다. 국보 제50호로 지정된 해탈문은 앞면 3칸·옆면 2칸의 단층건물로 동자상은 뒷쪽 좌우칸에 모셔져 있다. 
 사자와 코끼리를 타고 있는 두 동자상은 총 높이가 약 1.8m가량이고, 앉은 높이가 1.1m 안팎으로 크기도 비슷하고 조각기법도 동일하다. 다리를 앞쪽으로 나란히 모아서 사자, 코끼리 등에 걸터앉은 두 동자상은 동물상과 따로 만들어 결합하였으며, 두 손도 따로 만들어 끼웠다. 현재의 손도 후대에 다시 만들어 끼운 것으로 생각된다. 두 동자상의 머리를 묶은 모양새는 매우 화려하며, 이목구비가 원만하여 동자의 천진스런 모습을 잘 나타내고 있다. 사자와 코끼리를 타고 있는 점에서 지혜의 상징인 문수보살과 실천의 상징인 보현보살의 화신으로 추정되며 사자와 코끼리를 탄 동자상이라는 드문 예 가운데 목조상으로서는 유일한 작품이다. 
 1960년 해탈문을 해체 복원할 때 발견된 기록에 의하면 해탈문이 1473년에 건립된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이곳에 모신 동자상도 문이 건립될 때 함께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문화재청>

 

▼ 해탈문 안에 모셔져 있던 문수,보현보살상은 보물로 지정 되어 성보박물관에 모셔져 있고 해탈문에는 복원된 모형으로 전시되어 있다. 또한 금강역사를 배치하여 현재는 금강문 역할을 한다. 사자를 탄 문수보살상(문화재청),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상(해탈문에 복원된 상)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靈巖 道岬寺 五層石塔) 보물 제1433호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은 하층기단을 잃은 채 단층기단 위 5층 탑신부 및 노반석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1995년 이후 목포대학교 박물관에 의한 도갑사경내 발굴조사중  하층기단부가 발견되어 2002년 2월 현 대웅전 앞에 2중기단의 5층석탑으로 복원되었다.(현재 높이 5.45m)
 조각 및 구조수법 등의 특징으로 보아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각 부재도 온전하게 잘 남아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제된 체감율과 안정된 조형미가 돋보이는 석탑이다.<문화재청>

 

▼ 해탈문을 지나면 만나는 광제루...

▼ 도갑사 (道岬寺) 대웅보전과 오층석탑

▼ 도갑사 (道岬寺) 오층석탑(보물 1433호)

▼ 도갑사 (道岬寺) 대웅보전... 1977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1981년 복원하였다.

▼ 도갑사 (道岬寺) 대웅보전 뒷 모습

▼ 대웅보전 부처님과 앞쪽 전망

▼ 도갑사 (道岬寺) 석조(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0호)

▼ 도갑사 (道岬寺) 범종각

▼ 도갑사 (道岬寺) 국사전

▼ 도갑사 (道岬寺) 국사전에 모셔진 대사들...도선국사, 수미왕사 진영

▼ 도갑사 (道岬寺) 수미왕사비(유형문화재 제152호)

▼ 도갑사 (道岬寺) 천불전

▼ 도갑사 (道岬寺) 명부전과 삼층석탑

▼ 도갑사 (道岬寺) 산신각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靈巖 道岬寺 石造如來坐像) 보물 제89호
 
전라남도 영암군 도갑사의 미륵전에 모셔져 있는 석조불상이다. 이 불상은 몸체와 광배(光背)가 하나의 돌로 조각되어 있어서 마치 바위에 직접 불상을 새긴 마애불과 같은 기법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를 큼직하게 표현하고 있다. 얼굴은 타원형이며 도드라진 눈덩이, 넓적한 코, 두터운 입술은 강건하면서도 미소를 잃지 않는 모습이다. 넓은 어깨, 평평한 가슴, 단순한 몸의 굴곡 등은 생동감이 없는 경직된 모습이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채 왼쪽 어깨에서 겨드랑이로 걸쳐 입고 있으며 몇가닥의 옷주름이 투박하게 표현되었다. 
 갸름한 타원형 광배의 가운데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고, 꼭지와 머리 양 옆에 각각 작은 부처가 표현되었다. 광배에 새겨진 조각은 대체적으로 생략이 강하다. 불상을 모시기 위해 만들어 놓은 대좌(臺座)는 밋밋한 4각형의 형태를 하고 있으나, 본래는 연꽃무늬를 새긴 8각형의 대좌였을 것으로 추측되기도 한다.
 다소 경직되고 형식화된 수법을 보여주지만 얼굴표정에서 훈훈한 정감을 느끼게 하는 불상이다. 이 불상은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양식을 그대로 계승하면서도 투박하고 생략이 강한 고려적 요소를 충실히 보여주고 있는 고려 중기의 작품으로 보인다.<문화재청>

 

▼ 도갑사 (道岬寺) 미륵전과 도선수미비각으로 가는 길...

▼ 미륵전 가는 길에 정자가 하나 있는데... 푸른 물이 흐르는 골짜기라는 뜻의 벽간정(碧澗亭). 부채꼴 모양이다. 

▼ 도갑사 (道岬寺) 미륵전 아래 계곡에 있는 용수폭포

▼ 도갑사 (道岬寺) 미륵전 오르는 길

▼ 도갑사 (道岬寺)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89호)<문화재청>

▼ 도갑사 (道岬寺) 석조여래좌상 측면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靈巖 道岬寺 道詵國師·守眉禪師碑) 보물 제1395호
 
도갑사 도선·수미비는 귀부(龜趺), 비신(碑身), 이수(이首)를 구비한 석비로 도갑사의 부도전(浮屠田) 부근에 건립된 보호각 안에 보존되어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승려인 도선국사와 조선시대 수미왕사의 행적을 기록한 높이 517㎝ 규모의 석비이다.
 석비가 자리한 탑구(塔區)는 수매의 판석으로 조성했는데, 전면의 구도는 방형이지만, 뒷면은 귀부의 형상과 같이 ‘ㅅ’자형으로 조성해 전체적으로는 6각형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귀부의 머리는 오른쪽으로 약간 튼 형태인데 입에는 상·하 8개의 이빨로 여의주를 꽉 물고 있는 형상이다. 코는 큼직하며, 반구형의 양 눈은 부리부리하게 표현하였다. 등에는 전형적인 귀갑문 대신 평행 사선문(斜線紋)으로 정연하게 음각하였다. 4발 중 앞발은 5조, 뒷발은 3조의 발가락이 표현되었으며, 꼬리는 살짝 돌려 왼쪽 발의 허벅다리에 닿았다. 상면에는 비좌(碑座)로부터 중단에 이르기까지 넓게 방형의 얕은 받침이 표현되었다. 각 면 중앙의 내곡된 상면에는 화문(花紋)이 조식되어 있다.
 비신은 귀부와 이수와는 달리 대리석으로 조성했다. 상면에는 전서로 「월출산도갑사도선국사수미대선사비명」이라 썼으며, 비제(碑題)는 횡서로 「월출산도갑사도선국사수미대선사비명병서」라 음각했다. 비문에 의하면 본래 이 곳에 있던 도선국사의 비가 훼손되어 다시 세웠음을 알 수 있다. 비문은 전면에 2개, 후면에 1개 등 모두 3개로 다른 석비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비문의 찬자가 각각 이경석(李景奭), 이수인(李壽仁), 정두경(鄭斗卿)인데 반해 연대는 모두 「숭정(崇禎) 병자(丙子) 사월(四月) 일(日) 입(立)」이라 기록되어 있어 1636년(조선 인조 14)에 건립이 시작되어 1653년(조선 효종 4)에 준공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양 측면에는 운룡문(雲龍紋)이 가득 양각되었는데, 매우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마치 살아 있는 쌍룡이 구름을 타고 승천하는 착각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이수 역시 1석으로 조성되었는데, 하단에는 28판의 앙련(仰蓮)이 조각되었으며, 상면에는 운문 위에 2마리의 용이 각각 이수의 양끝을 물고 있는 형상을 지니고 있다.
 이 석비는 1653년(조선 효종 4)에 건립된 것으로 우선 규모 면에서 다른 비석과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아울러 각부의 양식에서 귀부는 다른 예와는 달리 귀갑문 대신 평행 사선문으로 이를 표현하고 있다. 비신 역시 조성재료가 대리석이라는 점 외에도 양 측면에 조각된 운룡문은 매우 힘찬 기상과 율동감을 지니고 있어 당대 최고 수준의 작풍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석비의 건립기간이 18년임을 알려주고 있어 이 방면 기술사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나아가 대부분의 석비가 1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에 비해 도선과 수미선사를 표방하고 있어 이 역시 독특한 예라 생각된다. 한편 건립연대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비문이 각각 독립된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찬자는 물론 쓴 사람과 각자한 사람이 모두 다른 것은 비문의 내용을 볼 때 석비를 다시 세우기로 계획하고 3년의 모금활동과 건립기간 18년을 포함한 21년간에 걸친 건립과정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2번째 비문에는 앞선 비문의 내용이 소개되어 있으며, 석재의 채취로부터 이동과정이 기록되어 있으며, 3번째 비문에서는 음기를 청탁받은 사실이 기록된 점으로 보아 석비의 건립과정에서 3개의 비문에 대한 준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관점에서 볼 때 이 석비는 규모의 거대함과 더불어 건립에 소요되는 기간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 하겠다. 아울러 미술사적으로 볼 때도 조선후기 조각사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사료일 뿐만 아니라, 주인공이 도선과 수미선사 등 2인이라는 점과 글씨 역시 서예사 연구에 좋은 자료라 판단된다.<문화재청>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靈巖 道岬寺 道詵國師·守眉禪師碑) 보물 제1395호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靈巖 道岬寺 道詵國師·守眉禪師碑) 전후면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靈巖 道岬寺 道詵國師·守眉禪師碑) 이수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靈巖 道岬寺 道詵國師·守眉禪師碑) 귀부 앞, 뒤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靈巖 道岬寺 道詵國師·守眉禪師碑) 비신 전후면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靈巖 道岬寺 道詵國師·守眉禪師碑) 비신 측면 좌,우

▼ 영암 도갑사 전망...  

 

728x90
반응형
Posted by 이방인야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