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

 

<현장답사나 간산을 다녀온 곳은 많은데 답사기를 올리기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사진 정리도 제대로 되지않아 일차적으로 답사기 올리기 전까지 사진을 보관하고 관리할 목적으로 사진만 보관하려고 만든 자료실입니다. 정식으로 글을 올리기 전까지만 유지하는 곳입니다. 이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자민(子敏), 호는 동악(東岳). 좌의정 이행(李荇)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이원정(李元禎)이고, 아버지는 진사 이형(李泂)이며, 어머니는 경주 이씨로 대호군(大護軍) 이양(李崵)의 딸이다. 재종숙부인 사헌부감찰 이필(李泌)에게 입양됐다. 이식(李植)의 종숙(從叔)이다.
이안눌은 18세에 진사시에 수석합격한다. 그러나 동료들의 모함을 받자 관직에 나갈 생각을 버리고 오직 문학 공부에 열중했다. 이 시기에 동년배인 권필(權韠)과 선배인 윤근수(尹根壽)·이호민(李好閔) 등과 교우를 맺었다. 이들의 모임을 동악시단(東岳詩壇)이라고 한다.
29세 되던 해인 1599년(선조 32) 다시 과거 시험을 봐 문과에 급제했으며 이후 여러 언관직(言官職)을 거쳐 예조와 이조의 정랑으로 있었다. 1601년(선조 34)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에 성균직강(成均直講)으로 옮겨 봉조하(奉朝賀)를 겸했다. 공조로 옮겼다가 주시관(主試官)으로 호서와 관서지방에 나갔다가 다시 예조에 들어온 후 단천군수가 됐다.
1607년홍주목사·동래부사를 거쳐 1610년담양부사가 됐다. 부사가 된지 1년 만에 병을 이유로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3년 후에 경주부윤이 됐고 호조참의 겸 승문원부제조로 임명됐다. 그 후에 다시 동부승지에서좌부승지가 됐으나 사직한다. 이후에 강화부사가 된다.
그 후에 어머니의 삼년상을 마치고, 인조반정으로 예조참판에 임명됐으나 그를 비방하는 말들이 생겨나자 사직했다. 이듬해에 이괄(李适)의 난을 방관했다는 죄로 귀양을 갔다가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사면됐고 다시 강도유수(江都留守)에 임명됐다.
1631년에는 함경도관찰사가 됐고 다음해에 예조판서 겸 예문관제학을 거쳐 충청도순찰사에 제수됐다.
조정에서 청렴하며 근면한 관리로 뽑혀 숭정대부(崇政大夫)가 되어 형조판서 겸 홍문관제학에 제수됐다. 같은 해(1636년) 겨울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병든 몸을 이끌고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으로 갔다. 전쟁이 끝나고 서울로 돌아온 후에 병세가 악화돼 죽었다.
그는 작품 창작에 최선을 다하여 문집에 4,379수라는 방대한 양의 시를 남겼다. 두보(杜甫)의 시를 만 번이나 읽었다고 하며 시를 지을 때에 하나의 글자도 가볍게 쓰지 않았다고 전한다. 특히 당시(唐詩)에 뛰어나 이태백(李太白)에 비유됐고 서예 또한 뛰어났다.
정철(鄭澈)의 「사미인곡」을 듣고 지은 「문가(聞歌)」가 특히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고답적 표현을 버리고 절실한 주제를 기발한 생각으로 표현한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한편, 임진왜란이 끝난 다음에 동래부사로 부임하여 지은 「동래사월십오일(東萊四月十五日)」은 전쟁의 상처를 형상화한 내용으로 사실적 표현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내용은 왜적이 동래에 쳐들어왔을 때 관민이 함께 막으려다 장렬하게 전사한 사연을 담고 있다.
이러한 시를 통해 그가 체험한 임진왜란이 가져다준 참상을 그려볼 수 있다. 또한 명나라로 사행가면서 지은 시에서는 명나라에 대한 외교적 자료를 발견할 수 있다.
저서로는 『동악집(東岳集)』 26권이 있다. 1985년 여강출판사(驪江出版社)에서 영인해 출판했다. 그의 문집에 실린 시는 자신이 옮겨 다닌 지방을 중심으로 묶여 있다. 지방의 민중생활사와 사회사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담고 있다.
숭록대부의정부좌찬성 겸 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에 추증됐다. 담양의 구산서원(龜山書院)과 면천의 향사에 제향됐다. 시호는 문혜(文惠)이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안눌(李安訥)신도비
 
이안눌신도비는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1712년(숙종 38)에 세웠다. 비문은 김상헌(金尙憲)[1570~1652]이 글을 짓고, 송준길(宋浚吉)[1606~1672]이 글씨를 썼으며, 김수항(金壽恒)[1629~1689]이 두전(頭篆)[비석 몸체의 머리 부분에 돌려 가며 쓴 전자(篆字)]을 썼다.
이안눌 신도비는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사관리 247-2 ‘비석말’ 마을에 있다. 이안눌의 묘소는 신도비에서 북쪽으로 약 300m 지점의 야산에 있다. 
이안눌 신도비는 네모반듯한 대좌에 화강석의 비신(碑身)[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을 세우고 옥개형 이수(螭首)[비석의 머리에 뿔 없는 용의 모양을 아로새긴 형상]를 올렸다. 높이는 238.5㎝, 폭 98.5㎝, 두께 38.3㎝이다. 신도비는 철책으로 보호되어 있다.
이안눌 신도비 두전에는 ‘증좌찬성 시문혜공 동악 이 선생 신도비명(贈左贊成諡文惠公東岳李先生神道碑銘)’이라고 쓰였다.<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문화재지정 미지정
문화재명칭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
소재지 충남 당진시 정미면 사관리 산 24-3
관리자(연락처) 덕수이씨

 

▼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 전경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 전경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 근경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는 전반적으로 수기가 많아 보인다.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 석물들...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표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 측경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는 횡룡입수로 들어오는데 귀성은 없어보인다.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에 이끼가 잔뜩 덮혀있고... 안산도 곧 개발이 되는듯 보인다.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 후경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에는 도두에 좌향을 새겨 놓았다. 특이한 형태의 묘다.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 앞에 있는 묘는 묘표가 없어서 누구의 묘인지 확인을 못했다. 아마도 부인 묘일 경우 이안눌 묘표에 써 있겠지만 글자가 식별이 어려워 확인하지 못했다.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 앞에 있는 묘는 짐승들이 봉분을 훼손해 놓았다.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묘역 제일 아래부분에 있는 묘 역시 묘표가 없다.

 

 동악(東岳)이안눌(李安訥) 신도비는 마을 입구 평지에 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이방인야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