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천년 은행나무가 살아있는  용문사

 

양평 용문산은 군에 있을 때 6.25전적지로 우리 국군이 용문산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던 곳이어서 관심있게 보던 산이었다. 10여년 전에 고등학교 친구들과 용문산 등산을 했는데 산이 상당히 높다고 느꼈었다. 그때는 용문사로 올라가서 사나사 계곡으로 내려왔었다. 용문산을 타고 양평쪽으로 내려오면 끝에 백운봉이 있는데 이 산이 아주 멋드러진 산이어서 이 일대는 이 산을 바라보고 집을 짓거나 묘를 쓰면 큰 인물을 예견할 수 있게 된다.

용문산 일대는 옛부터 윤승길, 조욱 등 사대부가들의 묘자리가 많기로 유명하다. 그만큼 좋은 기운이 있다는 뜻인데 근자에는 용문산국민관광단지로 개발되고 관광단지 안에는 여러 조각품, 옛 선사들의 시문, 농업박물관, 용문산지구전적비, 독립운동발상지비석 등이 들어서 있다. 특히 용문산 아래에는 유서깊은 용문사라는 절과 1100살이 되는 은행나무가 있어 용문산과 용문사는 뗄 수 없는 하나로 묶여있는 곳이다.

용문사는 강원도를 다녀오거나 남한강 주변을 다녀올 때 서울로 오는 길목에 위치하다보니 무시로 드나드는 곳이다. 특별히 찾을 일이 없어도 그냥 걷고 싶을 때, 차 한 잔이 그리울 때, 가을 단풍이 보고 싶을 때, 겨울 바람을 느끼고 싶을 때 찾는 곳이다. 
이번에 강원도 월정사, 상원사 적멸보궁을 다녀오면서 방향을 용문사쪽으로 잡아서 또 한번 다녀오게 되었다. 수시로 드나들다보니 사진을 별로 찍지 않다보니 예전에 찍은 사진을 활용해서 답사기를 쓰는 것을 양해 바란다.
이미 몇 차례 블로그에 답사기를 올렸는데 조금씩 새로운 불사를 하고 있어서 새로운 것을 또 올려야 할 것 같아 이번에는 티스토리에 올린다.
한겨울에 찾은 용문사는 여름철 시원한 인공 도랑물도 보이지 않고 녹음도 없지만 싸한 겨울 바람과 함께 청량한 기운이 온몸을 감싸고 스친다. 이 기분을 느끼려고 일부러 찾아오는 중이다. 겨울에 겉옷을 살짝 들쳐내고 바깥기운을 맞이하면 새로운 공기의 맛을 느낄 수 있다.
용문사를 방문하면 법당에 오르기 전 은행나무 아래 전통찻집이 있는데 겨울철에는 이곳을 가끔 이용하게 된다. 대추차를 자주 마셨는데 이번에는 조금 늦은 시각에 찾았더니 문을 닫아서 이용을 못했다.
또한 관음전 관음보살좌상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고, 그 옆으로 난 샛길을 따라 약200여m 오르면 정지국사탑이 나온다. 시간이 허락하면 이 탑에서 아래로 조금 내려오면 정지국사탑비가 한쪽 구석에 놓여있다. 그 아래로 오솔길을 따라 내려오면 입구의 관광단지 한국독립운동발상지비 옆으로 나온다. 개인적으로 이 오솔길을 나는 좋아한다. 한 여름에는 시원하고 가을에는 계곡의 단풍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겨울철에는 얼음이 얼 수 있어 위험하니 안가는게 좋다.
요즘 용문사는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불사가 진행되다보니 예전에 일주문에서부터 산사까지 이르는 길에서 느꼈던 청량한 기운보다 인위적인 느낌을 더 많이 받는다. 자연스런 절간으로 남아 있어서 언제든 찾고 싶은 절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용문사(龍門寺)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용문산은 미지산(彌智山)이라고도 한다. 913년(신덕왕 2) 대경대사(大鏡大師)가 창건하였다. 그러나 일설에는 649년(진덕여왕 3) 원효(元曉)가 창건하고 892년(진성여왕 6) 도선(道詵)이 중창하였다고 하며, 또 경순왕이 직접 이곳에 와서 창건하였다는 설도 있다.
1378년(우왕 4) 정지국사(正智國師) 지천(智泉)이 경천사(敬天寺)에 있던 우왕이 원각(願刻)한 대장경판을 이곳에 옮겨 세 칸의 대장전(大藏殿)을 지어 봉안했으며, 1395년(태조 4) 조안(祖眼)이 중창하였다. 1447년(세종 29)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모후인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를 위하여 보전(寶殿)을 짓고, 불상 2구와 보살상 8구를 봉안한 뒤 이듬해 경찬회(慶讚會)를 열었다.
수양대군은 이 법회에 참석하여 기도하던 중 불사리(佛舍利)의 방광을 목격하고 이 절을 원찰(願刹)로 삼았으며, 1457년(세조 3) 퇴락한 법당과 승방(僧房)을 중수하였다. 1480년(성종 11) 처안(處安)이 중수하였으며, 1890년(고종 30) 봉성(鳳城)이 조대비(趙大妃)의 외호를 받아 중창하였고, 1893년에도 한 차례 중창하였다.
1907년 의병 봉기 때 모든 건물이 불타자 취운(翠雲)이 큰방을 중건하였고, 1938년 주지 홍태욱(洪泰旭)이 대웅전·어실각(御室閣)·칠성각·기념각·요사채 등을 복구하였다. 6·25전쟁 때 용문산전투로 다시 불에 탔으나 1958년에 다시 재건하였다. 그 뒤 1983년 지장전·범종각·일주문 일부를 중수했고, 관음전과 요사를 보수하였다. 그 중 지장전은 1994년에 완공되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지장전·관음전·삼성각·종각·요사채·일주문(一柱門) 등이 있으며, 옛 절터에는 주춧돌이 산재되어 있다. 문화재로는 보물 제531호로 지정된 정지국사부도(正智國師浮屠) 및 비가 있으며, 산신각 동쪽에는 부도 5기가 있다. 이 밖에 이 절 앞에는 높이 42m, 가슴높이 둘레 14m의 큰 은행나무가 있는데, 전설에 의하면 마의태자가 망국의 한을 품고 금강산으로 들어가다가 이곳에 들러 심었다고 한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용문산(龍門山)

 

경기 양평군 용문면(龍門面)과 옥천면(玉泉面)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157m에 이른다. 양평(楊平) 북동쪽 8km, 서울 동쪽 42km 지점에 위치한다. 광주(廣州) 산맥계에 속하나 독립된 한 산괴로서 산체(山體)가 웅대하여 동서 8km, 남북 5km에 걸치고, 용문산을 주봉으로 하여 동북동 5.5km의 도일봉(道一峰:864m), 동쪽 4.5km의 중원산(中元山:800m), 남서 3.5km의 백운봉(白雲峰:940m) 등 지봉(支峰)이 용립(聳立)하여 연봉을 이루고 있다.
정상은 평정(平頂)을 이루고 능선은 대지(臺地)가 발달하였으며, 특히 중원산과의 중간에는 용계(龍溪)·조계(鳥溪)의 대협곡이 있고 그 사이에 낀 대지는 수 100m의 기암절벽 위에 있어 금강산을 방불케 한다. 북쪽은 완경사, 남쪽은 급경사를 이루고, 첩첩이 쌓인 암괴들이 나타나며 깊은 계곡과 폭포도 볼 수 있고 용문산 북서 일대는 고도 700∼1,100m의 약 4㎢의 고위평탄면이 나타난다.남쪽 산록 계곡에는 용문사(龍門寺)·상원사(上院寺)·윤필사(潤筆寺)·사나사(舍那寺) 등 고찰이 있고 용문사 경내에 있는 은행나무는 천연기념물 제30호로 지정되고 나무가 차지하는 면적이 260㎡나 된다. 또 이곳에는 보물 제531호 정지국사 부도(正智國師浮屠) 및 비(碑) 2기가 있다.<대한민국구석구석>

 

문화재지정

천연기념물 제30호

문화재명칭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楊平 龍門寺 銀杏─)

소재지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626-1

관리자(연락처)

용문사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楊平 龍門寺 銀杏─)

 

천연기념물 제30호. 높이 42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14m로 수령은 1,100년으로 추정된다. 가지는 동서로 28.1m, 남북으로 28.4m 정도 퍼져 있다.
나무의 나이를 추정하는 근거는 용문사의 창건연대와 관련하여 산출하고 있다. 용문사는 649년(신라 진덕여왕 3)에 원효대사가 세웠다고 한다. 따라서 은행나무는 절을 세운 다음 중국을 왕래하던 스님이 가져다가 심은 것으로 보고 있다.
신라의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의 아들 마의태자(麻衣太子)가 나라를 잃은 설움을 안고 금강산으로 가다가 심었다는 설과, 의상대사가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꽂고 갔는데 그것이 자랐다는 설도 전해지고 있다.
이 나무는 은행나무 중에서는 물론이고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나무 중에서도 가장 큰 나무로서 조선 세종 때 당상직첩(堂上職牒) 벼슬이 내려졌다 하며, 마을에서는 굉장히 신령시하여 여러 가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옛날 이 나무를 베고자 톱을 대었을 때 톱자리에서 피가 나오고 맑던 하늘이 흐려지면서 천둥이 쳤기 때문에 중지하였다는 이야기와 정미의병이 일어났을 때 일본군이 절을 불살라버렸으나 나무만은 타지 않았다는 이야기와 나라에 큰 이변이 생길 때마다 큰 소리를 낸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고종이 승하했을 때 커다란 가지 한 개가 부러졌고, 8·15광복, 6·25전쟁, 4·19, 5·16 때에도 이상한 소리가 났다고 한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 용문산(龍門山) 용문사(龍門寺) 일주문... 한 겨울에 찾았다. 용문사 답사 사진은 봄, 겨울을 비교하면서 올리니 이해 바랍니다.

▼ 용문산(龍門山) 용문사(龍門寺) 입구에 세워진 한국민족독립운동발상지 비석...

 

양평 한국독립운동발상지 바로가기

 

▼ 용문사(龍門寺) 일주문 옆에 은행나무 제단이 마련되어 있다.

▼ 용문산국민관광단지를 들어서면 앞에 커다란 돌에 새겨진 용문팔경 시

▼ 용문산국민관광단지 안쪽에는 조각, 명사들의 시를 새긴 시비들이 많다.

▼ 용문산국민관광단지 안에 있는 옛날 놀이 재현 인형...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ㅎ

▼ 용문사를 오르는 길의 백미... 무엇보다 왼편으로 도랑물을 내려보내고 그곳에 자갈을 깔아 자연의 소리를 재현했다. 여름철에 이 소리를 들으며 걸으면 온갖 시름이 다 달아난다. 겨울에는 물을 막아놓아 운치를 느낄 수 없어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 용문사(龍門寺) 오르는 길에 법구경을 새겨 놓아 자신을 되돌아보게 한다.

▼ 용문사(龍門寺) 안내도

▼ 용문사(龍門寺) 은행나무 앞에 새로 만들어진 사천왕문...

▼ 용문사 은행나무... 1100년을 버티며 아직도 웅장한 자태를 뽑낸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나무로 알려져 있다.

▼ 용문사 은행나무 밑둥.. 지금은 출입이 어렵지만 예전에는 들어가게 했었다. 아이들과 손을 잡고 세번돌았던 기억..

▼ 자비무적... 인자무적은 많이 들어봤는데.. 일중선생 글씨이다.

▼ 용문산(龍門山) 용문사(龍門寺) 대웅전

▼ 용문사 대웅전 부처님

▼ 용문사(龍門寺) 대웅전에서 바라본 은행나무

▼ 용문사에서 바라본 용문산 정상...

▼ 봄철에는 대웅전 옆 칠성각, 산신각 오르는 길에 작약꽃이 피어 아주 멋지다.

▼ 용문사(龍門寺) 칠성각과 산령각

▼ 용문사(龍門寺) 대웅전 옆에 새로 세워진 약사불... 엄청난 불사를 하고 있다.

▼ 용문사(龍門寺) 지장전

 

양평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 (楊平 龍門寺 金銅觀音菩薩坐像) 보물 제1790호

 

양평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고려후기 14세기에 크게 유행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던 금동보살상의 전형을 보여주는 상이다. 이 유형의 보살상은 현재 대마도 관음사에 봉안되어 있는 서산(瑞山) 부석사( 浮石寺) 금동관음보살좌상(1330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금동관음·대세지보살입상(이왕가박물관 구장(舊藏), 1333년), 국립전주박물관 금동보살좌상, 청양 운장암 금동보살좌상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도 같은 양식범주에 넣을 수 있다.
이 형식의 보살상은 살이 많은 방형의 얼굴에, 사실적인 이목구비, 가지런한 앞머리, 어깨 위에 흘러내리는 수발(垂髮), 가슴에는 화려한 목걸이 장식, 양 무릎 위에 표현된 영락 등으로 그 특징을 요약해 볼 수 있고, 이 밖에도 소매가 있는 대의형태의 옷을 입고, 양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설법인(說法印)을 결하고 있으며 내의를 묶은 매듭이 나타난다. 특징적인 표현으로는 왼쪽 가슴에서 밖으로 드러나는 긴 삼각형 모양의 내의(內s衣)장식을 꼽을 수 있는데, 내의에 헝겊을 두껍게 겹쳐 만든 장식을 연결하여 어깨에 걸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장식의 불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은 당말오대(唐末五代)부터이며 대표적인 예로는 메트로폴리탄박물관 목조보살입상을 꼽을 수 있다. 근진미술관(根津美術館)의 아미타여래도(1306년)을 보면 내의장식에 화려한 문양이 보이는데, 고려후기 불보살상에서는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상에서와 같이 둥근 화문(花紋)을 새김으로써 화려한 내의 장식을 조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보관이 후보(後補)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조각적으로도 우수하며 고려후기 14세기 금동보살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상이다.<문화재청>


▼ 용문산(龍門山) 용문사(龍門寺) 관음전

▼ 관음전에 모셔진 금동관음보살좌상

▼ 용문사(龍門寺)에 용의 승천을 바라는 마음인듯 연못을 파놓았다. 썩 좋은 발상은 아니다.

▼ 용문산(龍門山) 용문사(龍門寺) 금향원

▼ 약사여래불에 개금을 하는데 나도 금종이를 사서 여러곳에 붙였다.

▼ 용문사(龍門寺) 측경과 관음전 후경

▼ 용문사 범종각

▼ 예전에 템플스테이 건물을 한동안 짓더니 지금은 완공되었다.

▼ 용문사 전통찻집... 예전 건물이 새롭게 리모델링 하면서 '미르'라는 간판을 달았다.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楊平 龍門寺 正智國師塔 및 碑) 보물 제531호

 

용문사에서 약 300m 떨어진 동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정지국사(1324∼1395)의 행적 등을 기록한 것이다. 정지국사는 고려 후기의 승려로 황해도 재령 출신이며 중국 연경에서 수학하였다. 조선 태조 4년에 입적하였는데 찬연한 사리가 많이 나와 태조가 이를 듣고 ‘정지국사’라는 시호를 내렸다. 
 탑과 비는 80m정도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다. 탑은 조안(祖眼) 등이 세운 것이며 바닥돌과 아래받침돌이 4각이고 윗받침돌과 탑몸이 8각으로 되어 있어 전체적인 모습이 8각을 이루고 있다.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을 새기고, 북 모양의 가운데받침돌에는 장식없이 부드러운 곡선만 보인다. 탑몸에는 한쪽 면에만 형식적인 문짝 모양이 조각되었다. 지붕돌은 아래에 3단 받침이 있고, 처마 밑에는 모서리마다 서까래를 새겼다. 지붕돌 윗면에는 크게 두드러진 8각의 지붕선이 있고, 끝부분에는 꽃장식이 있는데 종래의 형태와는 달리 퇴화된 것이다. 꼭대기에는 연꽃 모양의 장식이 놓여 있다.
 비는 작은 규모의 석비로 윗부분은 모서리를 양쪽 모두 접듯이 깎은 상태이고, 문자가 새겨진 주위에는 가는 선이 그어져 있다. 비문은 당시의 유명한 학자인 권근(權近)이 지었다. 처음에는 정지국사탑에서 20m 아래 자연석 바위에 세워 놓았는데, 빠져 나와 경내에 뒹굴고 있던 것을 1970년경 지금의 위치에 세웠다.<문화재청>


 

용문사 정지국사 탑 및 비 바로가기

 

▼ 용문산(龍門山) 용문사(龍門寺) 정지국사탑으로 가는 길에 있는 용을 닮은 나무... 봄, 겨울 비교

▼ 용문사(龍門寺) 정지국사 탑 및 비 안내문

▼ 용문사(龍門寺) 정지국사 탑 

▼ 용문사(龍門寺) 정지국사 비... 탑에서 100여m 아래에 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이방인야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