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은행 앞 3·1독립운동기념터는 명칭이 다른 곳과 중복되어 서울시에서도 어떤 방법을 강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나도 혼란 방지용으로 일단 명칭을 3·1독립운동기념터;선은전(鮮銀前)광장으로 표기해 놓았는데 추후에 정식 명칭이 나오면 그때 수정할 예정이다.

옛날 한국은행이 지금은 화폐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그러다보니 이 일대에 매년 두서너 차례 시내빌딩답사를 진행하고 있어서 화폐박물관은 꼭 들르는 곳이 되었다. 자연스럽게 동선에 이 표석이 포함되어 설명을 하긴 하는데 3.1운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전개 과정을 모른 체 국지적으로 설명하면 아무 의미가 없다는 것을 자주 느낀다. 따라서 이런 3.1운동 표석만 따로 모아서 설명을 해야 겨우 흐름을 이해하고 조상님들의 독립정신을 새길 수 있게 된다. 체험은 힘들어도 문서로라도 알리려고 이런 일을 나는 계속하고 있다.ㅎ



3·1독립운동기념터;선은전(鮮銀前)광장


남대문로2가 한국은행 앞에 있는 3·1독립운동기념(三一獨立運動紀念) 터는 3·1독립운동 당시 제1차 독립만세 시위가 있던 곳 중의 하나이다.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민족대표 33인 중 지방에 체류하던 4인을 제외한 29인이 모여 서울 인사동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한 직후 파고다공원에 모여 있던 학생들은 시가로 나가 시위하면서 독립만세를 외치고 태극기를 흔들었다. 남녀학생들의 독립만세 시위운동에 전국에서 상경하여 대기하던 시민과 민중이 가담하여 그들의 독립시위의 의지와 열기는 가열되었다.

학생과 시민단체의 시위경로는 파고다공원에서 종로를 거쳐 서울역전·의주로·정동·미국영사관·이화학당 등을 거쳐 다시 광화문·서대문·프랑스영사관·서소문·소공동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던 중, 당시 조선은행 앞 광장에서 일본 경찰들의 무차별 구타와 발포로 20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다시 전열을 정비하여 광화문을 거쳐 대한문 앞에서 또 다시 독립만세를 외치며 조국독립의 염원을 끝까지 이어갔다. 이 열기는 차츰 전국으로 확대 파급되어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었다.

3·1독립운동 이후 3개월 동안의 전국 독립만세 시위운동 상황을 보면, 집회 횟수는 1,542회에 이르고, 참여인원수는 202만 3,089명에 달하였다. 이 3·1만세운동으로 사망자 수는 7,509명에 달하였으며, 부상자 역시 1만 5,961명에 이르렀다. 이로 인하여 일본경찰에 체포된 인원수만 4만 6,948명이며, 소각당한 교회당이 47개소에 학교 2개교와 민가 715채에 달하였다. 이때 서울의 10개교에서 참여한 여학생의 인원 또한 1,929명에 이르고 있다.

세계평화와 민족의 자주독립을 주창하며 우리 민족이 한마음 한뜻으로 일어선 3·1독립운동을 기념하는 표지석이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39 한국은행 좌측 지하보도 앞에 세워져 있다.

<서울중구 문화관광 중구역사문화자원에서 인용>



3·1독립운동기념터;선은전(鮮銀前)광장 표석


▼ 3·1독립운동기념터;선은전(鮮銀前)광장 표석... 구 한국은행(화폐박물관) 왼편(청룡방)에 지하도 뒤편에 있다.


▼ 3·1독립운동기념터;선은전(鮮銀前)광장 표석... 이 앞을 지나면 당연히 보이게 되어 읽어보게 되지만 이곳이 그렇게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길이 아니다. 그리고 읽어본다고 해도 깊게 생각이 미치지 않아 나부터 대충 그러려니 하고 넘어간다.


▼ 3·1독립운동기념터;선은전(鮮銀前)광장 표석... 중앙분리대 부근에서 화폐박물관을 보고 찍은 사진인데 이번 포스팅에 활용해 봤다.


▼ 3·1독립운동기념터;선은전(鮮銀前)광장 표석 위치


▼ 3·1독립운동기념터;선은전(鮮銀前)광장 표석... 로드뷰로 찍어야 길 한복판에서 바라본 모습이 나온다. 로드뷰에 항상 감사...


▼ 3·1독립운동기념터;선은전(鮮銀前)광장 표석... 인근에 있는 다른 표석도 함께 기록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이방인야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