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예전에 만들었던 블로그가 틀이 깨지고 카카오에서 운영하는 정책인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원하는 형태대로 유지가 안되서 티스토리로 메인 블로그를 옮겼습니다. 예전 블로그에 있던 자료를 하나씩 옮기고 있는데 시간이 오래 지난 것은 내용이나 사진이 현재와 맞지 않는 것도 많습니다. 이점 이해바랍니다. 추후 다시 방문할 기회가 있으면 내용과 사진을 수정할 예정입니다.>

 

숙의홍씨(淑儀 洪氏, 성종후궁) 묘

 

의정부에 볼일이 있어 가는 길에 그동안 자료만 준비하고 못찾은 곳 몇곳을 찾아나섰다. 대부분 주소가 불명확하여 주소만 보고 갔다가는 거의 못찾는다. 다행히 사전에 주소를 확인하여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몇곳은 쉽게 찾았지만 몇곳은 끝내 못찾고 돌아왔다.
조선왕조에서 왕비 중에 가장 많은 자식을 둔 왕비는 세종대왕비 소헌왕후로 8남2녀이고, 후궁 중에서는 성종의 후궁인 숙의 홍씨로 7남3녀로 각각 10명의 자식을 두었다. 그만큼 숙의홍씨 후손들이 많다는 증거다.
숙의 홍씨라는 이름은 중종의 후궁(해안군 모친)도 있어 헷갈리기 쉽다.

 

숙의홍씨(淑儀 洪氏, 성종후궁)
 
숙의홍씨(淑儀 洪氏, 성종후궁)[1457년(세조 3)~1510년(중종 5) = 54세]. 조선 9대 임금인 성종(成宗)의 후궁.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중추부(中樞府) 동지사(同知事)를 지낸 홍일동(洪逸童)이며, 어머니는 사정(司正)문유질(文由質)의 딸인 남평 문씨(南平文氏)와의 사이에서 2남 3녀 중 3녀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이조 판서(判書)를 지낸 홍상직(洪尙直)이고, 증조할아버지는 밀직사(密直司) 판사(判事)를 지낸 홍징(洪徵)이다. 홍길동(洪吉童)이 서얼 숙부이기도 하다. 
성종의 후궁으로 궁에 들어와 숙원(淑媛)에 봉해졌다가, 이후 숙용(淑容)으로 진봉되었다. 성종과의 사이에 7남 3녀를 두었는데, 완원군(完原君)이수(李𢢝), 회산군(檜山君)이염(李恬), 견성군(甄城君)이돈(李惇), 익양군(益陽君)이회(李懷), 경명군(景明君)이침(李忱), 운천군(雲川君)이인(李𪬦), 양원군(楊原君)이희(李憘), 혜숙옹주(惠淑翁主), 정순옹주(靜順翁主), 정숙옹주(靜淑翁主)이다.
연산군이 왕위에 오른 후 소용(昭容)에 봉해졌는데, 홍숙의의 아들인 완원군이수가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는 바람에 어머니인 홍숙의는 규례대로 연좌되어 작위(爵位)를 추탈당할 위기에 처하기도 하였다. 이때 연산군은 처음에는 홍숙의의 작위를 추탈하는 대신에 소용에서 숙용으로 강등시켰으나, 결국 홍숙의의 직첩을 빼앗고 궁에서 내쫓았다.
1506년(중종 1)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중종이 왕위에 오른 후 홍숙의의 숙의(淑儀) 직첩을 다시 돌려주고 자수궁(慈壽宮)에 들어와 생활하게 하였다.<위키백과>

 

문화재지정 미지정
문화재명칭 숙의홍씨(淑儀 洪氏, 성종후궁) 묘
소재지 경기도 의정부시 녹양동 산 38-1
관리자(연락처) 전주이씨 운천군파

 

 

▷ 양원군 묘 바로가기

 

▷ 정숙옹주 묘 바로가기

 

 

▼ 묘역 입구에 숙의홍씨 묘 안내석이 있다.

▼ 묘역 입구에 묘갈명비가 세워져 있다.

▼ 숙의홍씨 묘갈명

▼ 숙의홍씨 묘

▼ 숙의홍씨 묘표.. 상석에 성종대왕 빈 숙의 남양홍씨 묘라고 적혀있다.

▼ 숙의홍씨 묘표

▼ 숙의 홍씨 묘 석물

▼ 장명등

▼ 숙의홍씨 묘 문인석

▼ 숙의홍씨 묘 전경

▼ 입수도두..

▼ 숙의 홍씨 묘 후경

<제 다른 블로그 '좋은터 길라잡이' 2012. 5. 8 올린 글을 옮겨옴>

 

정보가 유익했나요?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댓글, 광고 등에 터치 한번 부탁해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이방인야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