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덕형선생집터(李德馨先生家址)

 

이덕형(李德炯, 1561~1613) 집터는 조선시대 문신 이덕형의 집이 있던 곳이다. 이덕형은 이항복(李恒福, 1556~1618)과의 절친한 우정에 관련된 일화를 남긴 것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이덕형 집터는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8 일대에 해당한다.
이덕형(李德馨, 1561~1613)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명보(明甫), 호는 한음(漢陰)이다. 이덕형은 이항복(李恒福, 1556~1618)과의 우정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이덕형은 1561년(명종 16)에 한양 성명방(誠明坊)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민성(李民聖)이고, 어머니는 유예선(柳禮善)의 딸로 영의정을 지냈던 유전(柳琠)의 누이였다. 이덕형은 남인(南人) 집안 출신으로 북인(北人)의 영수 이산해(李山海)의 사위였으나, 남인과 북인 사이에서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뒤에 남인에 가담하였다. 이덕형(李德炯) 집터는 이덕형이 살던 집이 있던 곳으로, 현재 서울역 맞은편의 대우재단빌딩 일대에 해당한다. 이덕형은 능력과 덕망을 겸비한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문신이었다. 그는 문학에 통달해 양사언(楊士彦)과도 막역한 사이였다고 전해지며, 1580년(선조 13)에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에 보직되고, 선조(宣祖)로부터 서적을 하사받을 정도로 재주가 뛰어난 신하였다고 한다. 이후 박사(博士)·이조좌랑·대사성(大司成) 등을 역임하고, 임진왜란 때인 1592년(선조 25)에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냈으며, 일본의 사신 겐소[玄蘇] 등과 화의교섭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또한 청원사로 명나라에 가서 조선 파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원병으로 온 명나라 장군 이여송(李如松)의 접반관(接伴官)을 지냈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에 명나라 양호(楊鎬)를 설득하여 서울의 방어를 강화하는 등의 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덕형은 1613년(광해군 5) 이항복과 함께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處刑)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관직을 삭탈당하고, 1613년 경기도 광주에서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인조(仁祖) 즉위 이후 복권되어 경기도 포천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제향되었다. 이덕형 집터는 이덕형의 집이 있던 장소로,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8 일대이다. 서울역 맞은편 대우재단빌딩이 위치한 곳에 이덕형 집터 표지석이 남아 있다.<서울중구역사문화자원에서 인용>

 


 

 

▼ 이덕형선생집터(李德馨先生家址) 표석

▼ 이덕형선생집터(李德馨先生家址) 표석에서 서울로 7017 고가도로가 보인다.

▼ 이덕형선생집터(李德馨先生家址) 표석은 예전에는 대우빌딩 정문 옆에 있었는데 최근에 빌딩 옆으로 옮겼다.

▼ 이덕형선생집터(李德馨先生家址) 표석 위치와 주변 빌딩들...

▼ 이덕형선생집터(李德馨先生家址) 표석이 있던 예전 정문에는 작은 안내문을 붙여 놓았다.

▼ 이덕형선생집터(李德馨先生家址) 옛날 표석 위치

▼ 이덕형선생집터(李德馨先生家址) 표석 위치... 서울역 주변에는 3.1독립운동기념터가 2곳 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이방인야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