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

 

최유림(崔有臨, 1426~1471) 장군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수성(隨城), 자(字)는 자앙(子昻)이다. 1450년(세종32) 무과에 급제하고 1455년(세조1)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3등에 녹훈(錄勳)되었으며, 1464년(세조10)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로 진하사(進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와서 이듬 해 전라도처치사(全羅道處置使)로 부임했다.

1467년(세조13) 이시애(李施愛) 난이 일어나자 공현위장(控弦衛將)이 되어 충청도병사 1,000명을 이끌고 석장현(石場峴) 싸움에서 김말손(金末孫)을 사로잡는 등 공을 세워 정충적개공신(精忠敵愾功臣) 3등에 훈호(勳號)되고 가선대부(嘉善大夫) 수성군(隨城君)에 봉하는 동시에 오위장(五衛將)이 되었으며, 그 해 명나라의 북방을 침범한 이만주의 군대를 막기 위해 조선지원군의 출병시 큰 공을 세움으로써 1468년(세조14)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제수되고, 경상우도 병마절도사(慶尙右道 兵馬節度使)로 부임했다.

1471년(성종2) 병으로 관직을 사임하고 향리에 내려와 8월 28일 타계하니 임금인 성종은 자헌대부 병조판서(資憲大夫 兵曺判書)로 추증하고 안양(安襄)으로 시호(諡號)를 내렸다.

사당(祠堂)은 평택시 오좌동에 있으며 수성최씨(隋城崔氏) 수성군파(隋城君派)의 세거지지(世居之地)로 내려오고 있다.<묘 안내문에서 인용>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
 
본관은 수성(隋城). 자는 자앙(子昻).

1450년(세종 32) 무과에 급제하여 고성현령·의금부진무(義禁府鎭撫) 등을 역임하고, 1455년(세조 1) 사직(司直)으로서 세조 즉위에 공이 있어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1464년 중추원부사로 진하사(進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전라도처치사로 나갔으나 앞서 명나라에 갔을 때 사무역(私貿易)을 하였다는 혐의를 받아 고신(告身)을 박탈당하고 외방으로 부처되었다.

1467년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공현위장(控弦衛將)이 되어 충청도병 1,000명을 이끌고 석장현(石場峴)싸움에서 적장 김말손(金末孫)을 사로잡는 등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 3등에 녹훈되고 오위장에 임명되는 동시에 수성군(隋城君)에 봉하여졌다. 그 해 겨울에 경상우도병마절도사에 임명되었다. 시호는 안양(安襄)이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 졸기(卒記)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이 졸(卒)하니, 조제(弔祭)와 예장(禮葬)을 예(例)와 같이 하였다. 최유림은 수원(水原)사람으로, 경태(景泰) 경오년597) 에 무과(武科)에 합격하여 고성 현령(固城縣令)·의금부 진무(義禁府鎭撫)를 역임하였고, 성화(成化) 을유년598) 에 〈외방으로〉 나가서 전라도 처치사(全羅道處置使)가 되었고, 정해년599) 에 비장(裨將)으로서 이시애(李施愛)를 정벌하는 데 종군(從軍)하여 공(功)이 있었으므로, 정충 적개 공신(精忠敵愾功臣)의 호를 하사하고 가선 대부(嘉善大夫)로 올려서 수성군(隋城君)에 봉(封)해졌고, 그 해 겨울에 경상우도 병마 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에 임명되었다. 기축년600) 에 수성군(隋城君)으로 바꾸어 봉(封)하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졸(卒)하였으며, 나이가 46세이다. 시호를 안양(安襄)이라고 하였는데, 화목을 좋아하여 다투지 않은 것을 안(安)이라 하고 갑주(甲胄)601) 에 공로가 있는 것을 양(襄)이라 한다. 최유림은 남의 안색(顔色)을 잘 살피고 권귀(權貴)를 아첨하여 섬기니, 사람들이 모두 그를 비루(鄙陋)하게 여겼다. 아들은 최윤신(崔潤身)이다.<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11권, 성종 2년 8월 28일 무진 5번째기사>
○(隨)〔隋〕 城君 崔有臨卒, 弔祭、禮葬如例。 有臨, 水原人。 景泰庚午, 中武科, 歷固城縣令、義禁府鎭撫; 成化乙酉, 出爲全羅道處置使; 丁亥, 以裨將, 從征李施愛有功, 賜精忠敵愾功臣陞嘉善封隋城君, 冬拜慶尙右道兵馬節度使; 己丑, 遞封隋城君。 至是卒, 年四十六。 諡安襄: 好和不爭, 安; 甲冑有勞, 襄。 有臨善伺候人顔色, 諂事權貴, 人皆鄙之。 子潤身。

 

문화재지정 평택시 향토유적 제4호
문화재명칭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
소재지 경기도 평택시 지산동 산106-2
관리자(연락처) 수성최씨 수성군파 종중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 입구... 최근에 홍살문을 세웠다.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 입구(예전 묘역 입구)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 안내문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는 부락산 둘레길 상에 있다.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 전경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 앞 장명등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 측경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 문인석 뒤에 석마를 배치하고 석양을 배치했다. 석마는 아마도 왕릉에서 본 딴 듯 한데 왕실이 아닌 곳에서는 석마를 거의 쓰지 않는다. 과하면 아니함만 못한데...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비... 뒤에 있는 배위 진산소씨 묘비...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 후경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배위 정경부인 진산소씨 묘... 그런데... 수성군 최유림 장군은 증 병조판서인데 부인은 정승반열에 오른 정경부인이 되었네요... 뭔가 여러가지가 잘 안맞네요.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배위 진산소씨 묘 문인석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 입수도두... 입수룡의 기운을 받고자 두툼하게 인작을 하였다.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 후경... 부부 묘를 상,하장으로 배치하였다. 앞쪽이 부군, 뒤쪽이 배위... 조선왕릉의 상,하릉 배치를 보면 앞쪽이 왕비, 뒤쪽이 왕이며, 왕가의 묘에서도 부군의 묘가 뒤쪽이 많다. 이는 전통적으로 남편이 우위에 있다는 상징으로 보인다. 그러나 부군이 앞쪽에 있는 묘도 상당히 많이 보인다. 이를 추적해 보면 혈장이 좁은 곳에서 남편이 먼저 사망하게 되면 앞쪽에 쓰게 되고 뒤에 부인이 사망해서 뒤로 들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조선왕릉으로 볼 때는 부군이 뒤쪽에 들어가는 것이 타당한데 여러 사례를 종합해 볼 때 상하장의 경우 특별하게 규칙을 둔 것 같지는 않다.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 후경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묘 아래에는 아들 최윤신(崔潤身) 묘가 있다.

▼ 최유림(崔有臨)장군 아들 최윤신(崔潤身) 묘비... 묘비 뒤에 약력이 써져 있는데... 해설을 하기에는 미흡하여 그냥 사진만 올리니 최윤신의 약력이 궁금하신 분은 번역해 보시길...

▼ 수성군(隋城君) 최유림(崔有臨)장군 아들 최윤신(崔潤身) 묘 후경...

728x90
반응형
Posted by 이방인야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