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홍명호[洪明浩 1736(영조 12)∼1819(순조 19)] 선생은 본관이 풍산(豊山), 자는 공서(公舒)이다. 홍진보(洪鎭輔)의 아들이며 홍양호(洪良浩)의 동생으로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영조 47년(1771) 정시 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교리(校理) · 대사간(大司諫) ·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정조 11년) · 승지(承旨) · 대사헌(大司憲) · 대사성(大司成) ·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했다.

정조 20년(1796)에는 도승지(都承旨)에 이르렀고,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 · 수원부 유수(水原府留守)(순조 7년) 등을 거쳐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1807~1810년)이 되었다. 이어 예조 판서(禮曹判書)(1809) ·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1811)에 이르렀다. 정조 3년(1779)에 동지 겸 사은 서장관(冬至兼謝恩書狀官)으로서 중국에 갔는데, 그가 보고 들은 중국의 풍습 · 부세(賦稅)문제 · 성곽수축과 변경방략 등에 대한 글을 올리기도 했다.

정조 15년(1791)에는 그의 아들 홍낙유(洪樂游)가 사관(史官)으로서 처벌당하게 되자, 이에 연루되어 금갑도(金甲島)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다. 또 채제공의 천주교 관련에 대해 극악(極惡)한 죄로 논단할 것을 주청하였다. 이어 순조 즉위년(1801)에는 정조(正祖)의 능(陵) 축조를 위한 산릉도감 당상(山陵都監堂上)이 되었다가 공역(工役)을 지연시킨 죄로 삭직(削職)되기도 했다. 글씨를 잘 썼고, 수원에 있는 〈지지대비(遲遲臺碑)〉의 전제(篆題)를 썼다. 순조 20년(1820)에 효헌(孝憲)이라는 시호(諡號)를 받았다.

묘소(墓所)는 현재 안성시 일죽면 가리에 있으며, 비석 2기, 문인석 2기, 망주석 2기, 장명등, 상석 등이 있고, 마을 부근에 그 후손들이 살고 있다.<안성시 문화관광사이트에서 인용>

 

홍명호(洪明浩)
 
본관은 풍산(豊山). 초명은 명한(鳴漢). 자는 공서(公舒). 홍만회(洪萬恢)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군수 홍중성(洪重聖)이고, 아버지는 홍진보(洪鎭輔)이며, 어머니는 윤두천(尹斗天)의 딸이다.

1763년(영조 39) 진사가 되고, 1771년 참봉으로서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부수찬 등을 지냈다. 1779년(정조 3)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 북경에 다녀와서 그 곳의 지리·풍속과 사정 등 문견(聞見)을 왕에게 소상하게 보고하였다.

그 뒤 대사간·중화부사·한성부우윤·승지·대사성·대사헌 등을 거쳐 평안감사가 되었는데, 무열사(武烈祠)를 수축할 때 유생들로부터 돈을 거두었다는 혐의로 파직되어 금갑도(金甲島)에 유배되었다.

뒤에 풀려나서 이조참판·도승지·동래부사를 역임하고, 이어 순조대에 들어와 형조판서·수원유수·우참찬·예조판서·한성부판윤 등 내외의 요직을 두루 거쳐 판의금부사에 이르렀다. 글씨를 잘 썼다. 작품으로는 수원의 「지지대비(遲遲臺碑)」가 있다. 시호는 효헌(孝憲)이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익정공(翼靖公) 홍희신(洪羲臣)
 
본관은 풍산(豊山). 1810년(순조 10) 황해도관찰사를 지내고 이듬해 이조참판에 올랐다. 1817년 대사간을 잠시 지낸 다음 이조참판·병조참판·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819년 동지사 겸 사은사의 정사(正使)로 청나라를 다녀 오고, 이어 형조와 공조의 판서를 거쳐 한성부판윤·우부빈객(右副賓客)을 지냈다. 1821년 대사헌을 지내고, 이듬해 이조판서를 역임한 뒤 외보(外補)로 광주유수(廣州留守)로 나갔다가 곧 형조판서가 되었다.

광주유수(廣州留守)로 재직시 선릉(宣陵)의 정자각(丁字閣) 개수(改修)를 감독하여 가의대부(嘉義大夫)에서 숭정대부(崇政大夫)로 가자(加資)되었다. 1825년 한성부판윤, 좌부빈객·좌빈객·수원부유수를 지냈다. 시호는 익정(翼靖)이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안성시 향토유적 제33호
문화재명칭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소재지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가리 산32-50(네비: 가리 산 47-1)
관리자(연락처) 풍산홍씨 종중

 

▼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진입로

▼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안내문...

▼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전경... 큰 와혈로 조성했다.

▼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석물

▼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갈

▼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측경

▼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입수도두

▼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후경... 앞쪽에서 잡풀을 태우는지 연기가 피어올라 사진이 흐릿하다.

▼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측경

▼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아래에는 아들 익정공(翼靖公) 홍희신(洪羲臣)의 묘가 있다.

▼ 홍명호(洪明浩) 선생 묘 아래  익정공(翼靖公) 홍희신(洪羲臣)의 묘

▼ 홍익정공(翼靖公) 홍희신(洪羲臣)의 묘갈

▼ 홍희신(洪羲臣)의 묘갈에 휘 희신(羲臣)이라고 명기 하였고, 고(考)홍명호라고 되어 있어서 홍명호의 아들이 명확하다. 안내문에 나와있는 홍의신은 홍희신의 오기(誤記)로 보인다.

▼ 익정공(翼靖公) 홍희신(洪羲臣)의 묘 석물

▼ 익정공(翼靖公) 홍희신(洪羲臣)의 묘 후경...

 

728x90
반응형
Posted by 이방인야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