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성유후(開城留後)이사위(李士渭)와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부자(父子) 묘

 

이일장군 묘를 10여년전에 답사를 했는데 그때 옆에 있던 이사위 묘를 답사하지 않았다. 그런데 용인 답사를 하다보니 답사를 했는지 안했는지 조차 기억이 나질 않아 이일장군 묘와 이사위 묘를 찾아나섰다.

지금 현장에는 오포에서 용인가는 도로 공사로 매우 어수선하다. 용인이씨 묘들이 많이 있는데 향토문화재로 지정된 이사위 묘와 이일장군 묘를 제외한 다른 묘들은 모두 이장한다고 현지 공사담당자께서 알려주었다. 이사위 묘역도 묘만 남기고 사초지도 모두 깎아서 공사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일장군 묘는 온전하게 남아 있다.

이곳을 오후에 찾았더니 햇빛이 반사되어 묘역이 흐릿하니 나온다. 묘지를 답사할 때는 좌향도 봐가면서 오전, 오후를 달리해야 깨끗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이사위 묘를 올리려고 찾아보니 용인 에버랜드에 있는 이백지 선생이 이사위의 아들로 나와서 한꺼번에 올리는게 더 나을듯 싶어서 부자의 묘를 한꺼번에 올리게 되었다. 이백지 묘는 에버랜드 안에 있다보니 관리가 잘 되어서 묘역이 아주 깨끗하다. 잡풀도 하나 없고 매우 양명해서 묘역에 올라보면 좋은 느낌을 받게 된다. 후손들 블로그를 가봤더니 이 묘가 아주 좋은 명당이라고 소개되어 있다. 아늑한 곳에 지금도 에버랜드의 경호를 받고 묘역 관리도 잘 되고 있으니 명당은 틀림 없는듯 보인다. 좌우 용호와 안산이 잘 둘러주고 있어 매우 아늑하다. 멀리 조산이 쌍봉으로 되어 있어서 썩 좋은 모습은 못된다.

 

개성유후(開城留後)이사위(李士渭)
 
이사위(李士渭, 1342년[1] ~ ?)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용인(龍仁)이다. 증조부는 지후(祗候) 이석(李奭)이고, 할아버지는 판서(判書) 이광시(李光時)이다. 아버지는 홍복도감판관(弘福都監判官) 구성부원군(駒城府院君) 충숙공(忠肅公) 이중인(李中仁)이다. 문효공(文孝公) 전신(全信)의 외손이다. 형제로는 전서(全書)를 지낸 형 이사영(李士潁)과 지주사(知州事)를 지낸 아우 이사이(李士彛)가 있다. 아들은 이백지(李伯持)이다.
1360년(공민왕 9) 문과에 동진사(同進士)로 급제하였다. 1390년(공양왕 2) 공양왕(恭讓王)이 처음으로 경연(經筵)을 열었을 때 이행(李行)·성석용(成石瑢)·민개(閔開)와 함께 참찬관이 되었으며, 같은 해 좌부대언(左副代言)으로서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이성계(李成桂)와 함께, 이성계를 비판한 예조판서(禮曹判書) 윤소종(尹紹宗)에게 죄주는 일을 반대했으나, 왕은 끝내 이를 듣지 않고 윤소종을 금주(錦州)로 추방했다. 역시 같은 해 밀직사부사(密直司副使)로 승진했다가, 이듬해 서해도도관찰사(西海道都觀察使)로 나갔다.
조선조에 들어와서는 1396년(태조 5) 도성감역관(都城監役官) 박리(朴理)가 궁궐 축조를 위해 군인들을 시켜 큰 돌을 운반하다가, 길이 좁아 이사위의 집 울타리를 철거한 일이 있었다. 이 때 이사위는 그를 구타하고 모욕을 주었기 때문에 형조(刑曹)가 왕에게 상소했고, 순군옥(巡軍獄)에 갇혔다가 10일 후 석방되었다.
이후 관직이 유후(留後)에 이르렀다. 이색(李穡)과 친교가 있어 『목은집(牧隱集)』에 이사위에 관한 시가 여러 편 실려 있다.
이사위 묘(李士渭 墓)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매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무덤이다. 2009년 3월 4일 용인시의 향토문화재 제63호로 지정되었다.<위키백과에서 발췌>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본관은 용인(龍仁). 증조부는 판서를 지낸 이광시(李光時)이고, 할아버지는 홍복도감판관(弘福都監判官)을 지낸 이중인(李中仁)이다. 아버지는 호조판서를 지낸 이사위(李士渭)이고, 어머니는 지군사(知郡事) 임세정(任世正)의 딸이다. 초배위(初配位) 해평윤씨(海平尹氏) 대호군(大護軍) 윤보(尹寶)의 딸에서 이수강(李守綱)과 이수령(李守領)과 이수상(李守常)을, 계배위(繼配位) 안동권씨(安東權氏) 판관(判官) 권경(權敬)의 딸에서 이수례(李守禮)와 이수의(李守義)의 5남(五男)을 두었다.
이백지(李伯持)는 고려 말 1385년(우왕 11) 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관직에 나왔으며, 조선 태종대에 주로 활동하였다. 1409년(태종 9) 성주목사(星州牧使)로 있을 때 백성을 동원하여 관둔전(官屯田)을 경작하도록 하였다가 경차관(敬差官)에게 적발되어 중도부처(中途付處)되었다.
1416년(태종 16)에 가뭄이 심하게 들어 임금이 의정부(議政府)·육조(六曹)·삼공신(三功臣)·삼군도총제(三軍都摠制)·예문관(藝文館)·대간(臺諫)에 명하여 각각 한재(旱災)를 가라앉힐 방책을 진술하게 했을 때 이백지는 24개조의 시무책을 올렸다. 또한 임금이 육조(六曹)·대간(臺諫)에게 올해 민간의 곡식 수확 상황을 물었을 때, 익지 않은 곡식을 백성에게 독촉하여 수확한 수령이 있다고 아뢰었다. 그러나 그 수령이 누군지 몰라서 대답을 못하여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 이백지는 이듬해에 강원도관찰사에 제수되었다. 1419년(세종 1) 전라도관찰사로 나아갔다가 병으로 사임하였고, 그해 12월에 사망하였다. 세종은 종이 70권을 부의(賻儀)로 하사하면서 애도하였다.
묘는 용인 에버랜드 내로 들어가서 호암미술관 가기전 우측으로 삼성연수원(인력개발원) 방향으로 올라가다 보면 도로변 우측에 입구 안내표지판 있으며 돌계단을 오르면 묘가 있다. 묘비문은 후손인 숙종때 경기관찰사 이세재(李世載)가 썼으며 '강원관찰사 구성이공(駒城李公) 백지(伯持)묘' 라고 기록 하였다. 삼성그룹(창업주 이병철) 중앙개발 에서 자연농원(현재 에버랜드)을 조성할 때 후손들이 가문을 중흥시킨 선조님의 묘소 이장을 반대하여 유일하게 남아있다. <다음블로그 벽암두릉연가, 다음블로그 용인이씨에서 발췌>
 

 

문화재지정 향토문화재 제63호(이사위묘), 향토문화재 제57호(이백지묘)
문화재명칭 개성유후(開城留後)이사위(李士渭)와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부자(父子) 묘
소재지 이사위묘: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매산리 산108-1
이백지묘: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산12-3
관리자(연락처) 용인이씨

 

▼ 개성유후(開城留後)이사위(李士渭) 묘는 후손 이일장군 묘 안내판 입구에서 보면 좌, 우로 보인다.

▼ 개성유후(開城留後)이사위(李士渭) 묘

▼ 개성유후(開城留後)이사위(李士渭) 묘비

▼ 개성유후(開城留後)이사위(李士渭) 묘비 전, 후면

▼ 개성유후(開城留後)이사위(李士渭) 묘 전면... 역광으로 사진이 엉망이다.

▼ 개성유후(開城留後)이사위(李士渭) 묘 석물

▼ 개성유후(開城留後)이사위(李士渭) 묘 입수도두

▼ 개성유후(開城留後)이사위(李士渭) 묘 후경... 도로 공사중이다.

 

▼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묘 입구 안내판... 에버랜드 안에 있어서 관리가 잘 되고 있다.

▼ 계단을 오르면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묘가 보인다.

▼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묘 원경

▼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묘 신도비

▼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묘 안내문과 신도비

▼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묘 전경

▼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묘 근경

▼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묘 석물

▼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묘비

▼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묘 입수도두

▼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묘 후경... 멀리 조산 봉우리가 갈라진 것은 좋게 보지 않는다.

 

▼ 개성유후(開城留後)이사위(李士渭) 묘 동영상

 

 

▼ 청백리(淸白吏) 이백지(李伯持) 묘 동영상

 

이일장군 묘 바로가기yacho2040.tistory.com/315

 

 

728x90
반응형
Posted by 이방인야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