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민족 민주열사 희생자 묘역(전태일, 박종철, 문익환)
남양주 답사 때 마다 모란공원묘지 민주열사 묘지를 답사하려고 몇번 계획을 했었는데 그때마다 나중에 별도로 한번 찾아가자는 일행의 말에 미루고 미루다가 지난 2월에 찾았다. 겨울이 막 지나고 날씨가 봄날씨 같은 날에 찾은 모란공원묘지는 아직도 겨울철의 싸한 기운이 감돌고 더구나 묘역마다 새겨진 한많은 사연들을 읽다보니 다른 어느 묘역보다 답사객의 발걸음을 무겁게 만들고 있다. 이곳은 입구에서부터 민족 민주열사 희생자 묘역이 자리잡고 있었다. 민주화 투쟁에 평생을 바친 분들이 누워 계시는 곳으로 발걸음이 제대로 떨어지질 않는다.이날 답사를 하는 중에 어느 한 곳에 이르렀는데 갑자기 전기에 감전된 듯 온몸이 경직됨을 느끼고 서둘러 답사를 끝냈다. 아마도 내 기운이 그들의 기운에 못 미치는 것 같다. 허구헌 날 묘만 찾아다니는 사람도 가끔은 묘소에서 쭈뼛함을 느낄 때가 종종 있다. 이럴 때는 잠시도 머뭇거리지 말고 답사를 종료하는 게 옳은 처사다. 氣의 흐름이 서로 맞지 않기 때문이다.
야초풍수 강의안내
(의정부시평생학습원)현대생활풍수(4월6일 개강) 수강생 모집 안내 바로가기
문화재지정 | 미지정 |
문화재명칭 | 민족민주열사묘역(모란공원묘지) |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마석 모란공원묘지 |
관리자(연락처) | 모란공원묘지 |
▼ 민족 민주열사 희생자 묘역...
▼ 민주열사 추모비
▼ 남양주 마석의 모란공원묘지... 민족 민주열사 희생자 묘역...
전태일(全泰壹)1948년 8월 26일~1970년 11월 13일. 현대 노동운동가. 본관은 경산(慶山)이고, 출신지는 경상북도대구(大邱)이다. 부친은 전상수이다.
|
▼ 모란공원묘지하면 떠오르는 인물.. 전태일 묘역
▼ 전태일 묘역 전경...
▼ 전태일 묘역에는 많은 사람이 다녀간 흔적이 보인다..
▼ 전태일 동상...
▼ 전태일 추모비...
▼ 전태일 묘역 측경
▼ 전태일 묘역 후경
▼ 전태일 묘역 뒤에는 그의 어머니 이소선 여사 묘가 있다.
▼ 전태일 어머니 이소선 여사 묘
▼ 전태일 어머니 이소선 여사 묘비 뒷면
▼ 전태일 어머니 이소선 여사 묘 후경... 왼쪽 앞에 아들 전태일 묘가 있다.
박종철(朴鐘哲)1964년 4월 1일~1987년 1월 14일. 출생지는 부산이다. 부친은 박기정(朴紀正)이고, 모친은 정차순이다. 1983년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에 입학하여 언어학과 학생회장으로 활동하였다. 1987년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3학년에 재학 중 공안 당국 취조실에 끌려가 학생운동을 하던 선배 박종운(朴鍾雲)의 소재를 취조 받았다. 취조 중에 심한 고문으로 1987년 1월 14일에 치안본부 대공수사단 남영동 분실 509호 조사실에서 사망하였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으로 알려진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정국은 혼란에 빠져들게 되었고, ‘6월 민주항쟁’의 불씨가 되었다.
|
▼ 전태일 묘역 위에는 민주열사 박종철 묘역이 있다.
▼ 박종철 묘역은 전순이 좁아서 사진 촬영이 어렵다..
▼ 박종철 묘
▼ 박종철 묘비
▼ 박종철 묘 전경
▼ 박종철 묘역 입구.. 흘러가는 맥을 타고 측맥으로 묘를 썼지만... 자리는 아니다..
문익환(文益換)1918년∼1994년. 현대 목사‧신학자‧시인. 호는 늦봄이다. 출생지는 만주 북간도(北間島)이다. 부친 목사 문재린과 모친 신신묵 사이에서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
▼ 문익환 목사 묘 전경...
▼ 문익환 목사 묘비..
▼ 문익환 목사 묘 측경
▼ 문익환 목사 묘 안내판...
728x90
반응형
'답사는 즐거워 > 선현묘지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광주]다시 찾은 김재규 묘 (0) | 2020.08.30 |
---|---|
[경기 남양주]모란공원묘지1(박영효, 장기려, 피천득 외) (0) | 2020.05.02 |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楊花津外國人宣敎師廟院) (0) | 2020.04.22 |
[경기 남양주]민족 민주열사 희생자 묘역(노회찬,김근태)(2) (2) | 2020.04.21 |
[서울 도봉]장간공 한치례(韓致禮)묘-인수대비 동생, 한확의 아들 (2) | 2020.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