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옥천 시인 정지용 생가 및 육영수 생가

 

옥천 일대 풍수문화답사를 거의 해본적이 없는 것 같다. 언제부터인지 육영수여사 생가와 정지용 생가가 한 곳에 있어서 이곳을 답사해보겠다고 마음만 먹고 못가봤다. 그런데 이곳은 일부러 찾지 않으면 동선을 잡기가 애매해서 항상 그냥 지나치는 곳이다. 대전에서 가기에도 애매하고 충주,청주쪽도 애매하다. 그렇다고 영동쪽으로 갈 때 찾으면 되련만 영동은 오히려 무주쪽으로 답사를 진행하다보니 옥천이 힘들었던 곳이다.

이번에 아예 맘 먹고 옥천 위주로 방향을 잡았다. 그런데 역시 답사를 맘먹고 할 때 마다 꼭 어떤 징크스가 있는데 이번에도 그랬다. 코로나로 인해 유명인 생가들이 모두 문을 닫았다. 인터넷에서 2주전에 문을 열어 다녀온 분 글을 보고 찾았는데 그 사이에 문을 닫은 모양이다. 할 수 없이 외곽만 둘러보고 답사를 진행해서 생각보다 너무 일찍 마치고 해가 있을 때 돌아올 수 있었다.ㅎ

정지용 생가는 옥천군에서 복원을 잘 해놓고 여기저기 볼거리를 많이 만들어 놓아서 비록 생가나 문학관을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충분히 그 느낌을 얻을 수 있었다. 이곳은 구 읍내라고 하는데 이곳에 향교 등 볼거리가 참 많은 동네였다. 어차피 한번은 더 와야 할 곳이니 조금 아껴둔다고 생각하고 바깥쪽만 보고 돌아왔다.

 

시인 정지용(鄭芝溶) 생가
 
1996년에 원형대로 복원되어 관리되고 있는 정지용 생가는 구읍사거리에서 수북방향으로 청석교 건너에 위치한다. 구읍사거리에서 수북방면으로 길을 잡아 청석교를 건너면 ‘향수'를 새겨 놓은 시비와 생가 안내판이 있는 곳에 이르게 된다. 이곳이 정지용 생가이며, 생가 앞 청석교 아래는 여전히 ‘향수'의 서두를 장식하는 실개천이 흐르고 있으며 그 모습은 변한지 오래이지만 흐르는 물은 예전과 같아 맑기만 하다. 정지용 생가는 방문을 항상 열어두어 찾는 이에게 그의 아버지가 한약방을 하였음을 가구(家具)로 알리고 있으며, 시선가는 곳 어디마다 정지용의 시를 걸어놓아 시를 음미할 수 있도록 배려해 놓았다.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뷔인 밭에 밤바람소리 말을 달리고”, “흐릿한 불빛에 돌아 않어 도란도란거리는 곳”, ‘향수'의 시어 따라 방안에 배치된 소품 질화로와 등잔은 자연스럽게 ‘향수'를 다시금 음미하게 하고 있다.정지용 생가는 두개의 사립문이 있다. 하나면 족할 것을 두개씩이나 문을 낸 뜻은 방문객의 동선을 고려하여, 또는 한 개의 문으로 드나드는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그랬는지는 모르겠다. 또 생가의 원형 그대로 복원했다 하니 물레방아 쪽 사립문은 텃밭 드나드는 용도로 원래부터 있었는지도 모른다. 부엌 문 옆을 본다면 돌절구, 나무절구와 공이가 놓여있는 자리 언저리, 이곳이 정지용 생가임을 알리는 표시판을 또 하나 만날 수 있다. 이 표시판은 정지용의 모습과 함께 그의 태어난 년도, 날짜, 생가가 언제 허물어지고 다른 집이 지어졌다는 내용을 동판에 돋을새김하고 있다. 1988년 정지용의 해금조치가 있은 후 모임이 시작된 ‘지용회'가 생가가 복원되기 전 이곳 어디쯤에 그 자취만이라도 전하고자 붙여놓은 표시판을 기념삼아 다시 붙인 모양이다.

‘지용회'가 정지용에 관한 것이면 무엇이든지 버리지 않고 아끼는 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보통의 경우가 장독대는 뒤란에 위치하나, 정지용 생가의 장독대는 우물가 담장 밑에 다소곳하다. 우물 옆의 낮은 굴뚝도 눈여겨 볼일. 민가의 굴뚝은 그저 연기만 토해내면 그만이라 돌과 흙을 되는대로 쌓아 만들거나 깨진 항아리나 판자로 굴뚝을 만들어 뒤란에 두는 것이 보통이나, 어쩐지 이곳은 우물가 옆이다. 낮은 굴뚝의 연기는 바로 흩어지지 않고 집 마당을 휘돌아 나가기 마련, 연기는 소독기능도 한다하니 그 지혜의 소산이 아닌가 싶다.<대한민국구석구석에서 인용>


시인 정지용(鄭芝溶)
 
한의사인 아버지 태국(泰國)과 어머니 정미하(鄭美河)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12세 때 송재숙(宋在淑)과 결혼했으며, 1914년 아버지의 영향으로 가톨릭에 입문했다. 옥천공립보통학교를 마치고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서 박종화·홍사용·정백 등과 사귀었고, 박팔양 등과 동인지 〈요람〉을 펴내기도 했으며, 신석우 등과 문우회(文友會) 활동에 참가하여 이병기·이일·이윤주 등의 지도를 받았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선근과 함께 '학교를 잘 만드는 운동'으로 반일(半日)수업제를 요구하는 학생대회를 열었고, 이로 인해 무기정학 처분을 받았다가 박종화·홍사용 등의 구명운동으로 풀려났다.

1923년 4월 교토에 있는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영문과에 입학했으며, 유학시절인 1926년 6월 유학생 잡지인 〈학조 學潮〉에 시 〈카페 프란스〉 등을 발표했다. 1929년 졸업과 함께 귀국하여 이후 8·15해방 때까지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영어교사로 재직했고, 독립운동가 김도태, 평론가 이헌구, 시조시인 이병기 등과 사귀었다. 1930년 김영랑과 박용철이 창간한 〈시문학〉의 동인으로 참가했으며, 1933년 〈가톨릭 청년〉 편집고문으로 있으면서 이상(李箱)의 시를 세상에 알렸다. 같은 해 모더니즘 운동의 산실이었던 구인회(九人會)에 가담하여 문학 공개강좌 개최와 기관지 〈시와 소설〉 간행에 참여했다.

1939년에는 〈문장〉의 시 추천위원으로 있으면서 박목월·조지훈·박두진 등의 청록파 시인을 등단시켰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이화여자대학으로 옮겨 교수 및 문과과장이 되었고, 1946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의 중앙집행위원 및 가톨릭계 신문인 〈경향신문〉 주간이 되어 고정란인 '여적'(餘適)과 사설을 맡아보았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에 가입했던 이유로 보도연맹에 가입하여 전향강연에 종사했다. 1950년 6·25전쟁 이후의 행적에는 여러 설이 있으나 납북됐다, 1950년경 북한에서 사망한 것이 통설로 알려져 있다.<다음백과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충청북도 기념물 제123호
문화재명칭 옥천 육영수 생가
소재지 충북 옥천군 옥천읍 향수길 119
관리자(연락처) 옥천군청

 

▼ 시인 정지용(鄭芝溶) 생가 안내문

▼ 시인 정지용(鄭芝溶) 생가 앞 향수 시비

▼ 시인 정지용(鄭芝溶) 생가... 코로나로 인해 문이 닫혀있다.

▼ 시인 정지용(鄭芝溶) 생가 안에 황소 조각상이 세워져 있다.

▼ 시인 정지용(鄭芝溶) 생가 옆에 일제시대 때 학생들에게 충성맹세를 강요하던 '황국신민서사비'를 이곳에 옮겨 사람들이 밟고 지나도록 했다.

▼ 시인 정지용(鄭芝溶) 생가

▼ 정지용(鄭芝溶) 생가 옆에는 정지용문학관이 있는데 이 또한 휴관중이다. 동상 앞에 폭포수가 떨어지고 있다.

▼ 정지용(鄭芝溶) 동상

▼ 정지용(鄭芝溶) 문학관 뒤편

▼ 정지용(鄭芝溶) 생가 담장... 너무 멋드러진다.

▼ 정지용(鄭芝溶) 생가 담장을 따라 보리를 심어서 지금 막 이삭이 피고 있다.

 

옥천 육영수 생가
 
옥천 육영수 생가(沃川 陸英修 生家)는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교동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2002년 4월 26일 충청북도의 기념물 제123호로 지정되었다.
고(故) 박정희 대통령의 영부인 육영수 여사가 1925년 11월 29일에 태어난 장소이다. 현재 건물은 없지만 1600년대 김정승 이후 송정승 및 민정승이 거주하여 삼정승의 집이라 불리던 가옥을 육영수 여사의 부친인 육종관씨가 민정승의 자손 민대감에게서 1920년 매입하였다고 한다.
6,047m2의 대지 위에 1970년 초에 개축된 관리사·사당 등만 남아 있으며, 주변은 울창한 산림이 형성되어 있고 본채·사랑채·별당 등 10여동의 건물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 터만 남아 있으며 주변은 연못과 정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물의 배치는 대문을 들어서면 넓직한 사랑채 터가 있고 그 뒤에 안채 터가 있으며, 청기와 지붕의 사당과 별당 터가 있다. 그리고 주위에는 관리인과 고용인들이 기거하던 부속건물이 있으며 사랑채 터 동쪽에는 연못이 있다.
육영수 여사는 옥천지방의 독농가(篤農家) 육종관의 2녀로 출생하였으며, 이름있는 문벌이었고 우리나라 전통적인 부덕(婦德)을 갖춘 현대여성이었다. 특히 불우한 사람을 위해서 봉사와 희생으로 일관된 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1974년 8월 15일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열린 제29회 광복절 기념식장에서 조총련계 문세광이 쏜 총탄에 맞아 사망하여 8월 19일 국민장으로 동작동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1600년대 김정승 이후 정승들이 살던 곳으로 조선시대 상류계급의 전형적인 양식의 건축구조를 갖추고 있었던 곳이며, 육영수 여사가 태어난 곳으로 가치있는 자료이다.<위키백과에서 인용>

 

▼ 옥천 육영수 생가가 있는 교동리 마을

▼ 옥천 육영수 생가 대문

▼ 옥천 육영수 생가 안내문... 생가 배치도

▼ 옥천 육영수 생가 담장

▼ 육영수 생가 역시 개방을 하지 않아 담장 너머로 몇 장 찍었다.

▼ 옥천 육영수 생가 앞쪽에 논을 연밭으로 만들어 놓았다. 앞쪽 안산이 근사한 아미사로 자리하고 있다.

▼ 옥천 육영수 생가 앞에 조형물이 있는데 야간에 활용하는 조형물 같다.

 

옥천사마소(沃川司馬所)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157호. 본래의 건물은 송시열(宋時烈)의 『의창중수기(義倉重修記)』에 따르면 1654년(효종 5) 의창 건물을 헐어서 세웠다고 하며, 1674년(현종 15)과 1893년(고종 30)에 중수하였다.
본체 건물은 정면 5칸ㆍ옆면 2칸의 홑처마맞배지붕 목조기와집으로 좌측부터 부엌, 온돌방 2칸, 마루 2칸을 두었다. 현판은 ‘沃州司馬所(옥주사마소)’라고 되어 있는데, 옥천군을 옥주(沃州)라고 부른 것은 1313년(고려 충선왕 5)부터 1413년(조선 태종 13)까지 였다.
사마소란 16세기 초 훈구파들의 유향소 장악에 대한 반발로 사마시(司馬試) 출신의 젊은 유림들이 향권을 주도하기 위해 세운 학문ㆍ교육기관이다. 1658년송시열이 쓴 『사마안(司馬案)』에 따르면 옥천 지방의 소과(小科) 이상의 급제자는 165인에 이르렀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 옥천사마소(沃川司馬所)

 

옥천향교(沃川鄕校)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중에 소실되었다가 그뒤 중건되었다. 1954년에 유림총회에서 황폐한 향교 재건을 결의하고 1961년에 복원하였으며, 1966년과 1974년에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10철(十哲)·송조6현(宋朝六賢)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건축형태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태이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후기 이래 향교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대신 선현에 대한 제향을 통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이 향교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97호로 지정되어 있다.
소장도서는 판본 15종 58책, 사본 11종 26책이 있으며, 이 중 『유안(儒案)』·『청금록(靑襟錄)』·『청금속록(靑襟續錄)』·『선안(仙案)』·『교안(校案)』·『향교중수사실(鄕校重修事實)』 등은 조선 후기 향교연구와 이 고장 향토사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현재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 옥천향교(沃川鄕校)

 

728x90
반응형
Posted by 이방인야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