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옛 지가서(地家書)에 의한 불가장지, 기혈지


◐ 청오경(靑烏經)의 칠불가장지(七不可葬地)


(1) 동산불가장(童山不可葬): 나무와 풀이 자라지 않는 벌거숭이 동산(童山)은 생기(生氣)가 없는 땅이므로 장사를 지내서는 안 된다.

(2) 단산불가장(斷山不可葬): 맥이 끊긴 단산은 생기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장사 지내면 안 된다.(단 석맥으로 이어지면 석량이라 하여 맥이 연결되고 있다)

(3) 석산불가장(石山不可葬): 생기는 흙에 의지하여 융결(融結)되기 때문에 석산에 장사지내면 안 된다.

(4) 과산불가장(過山不可葬): 지나가는 산은 용세(龍勢)가 머물지 못하기 때문에 장사지내서는 안 된다.

(5) 독산불가장(獨山不可葬): 혈(穴)이란, 음양이 화합되어 결지 되는데, 홀로 떨어진 독산은 자웅(雌雄)을 품지 못하므로 장사지내서는 안 된다.

(6) 핍산불가장(逼山不可葬): 주변의 산과 가깝거나 좁으면 명당(明堂)이 전무(全無)하므로 장사 지내면 안 된다.

(7) 측산불가장(側山不可葬): 한쪽으로 기울어져 바르지 못한 산은 혈을 결지하지 못하므로 장사 지내면 안 된다.



◐ 금낭경(錦囊經)의 오불가장지(五不可葬地)


금낭경에 ‘동단석과독(童斷石過獨) 생신흉(生新凶) 소이복(消已福)’ 이라 하여 청오경의 핍산(逼山)과 측산(側山)을 제외한 동산(童山), 단산(斷山), 석산(石山), 과산(過山), 독산(獨山)은 모두 커다란 결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산에다 잘못 장사를 지내면 후손들에게 많은 재앙이 따르고, 이미 받은 복(福)도 소멸된다 하였다.



◐ 양공(楊公: 양균송)의 삼불장론(三不葬論)


(1) 유룡무혈부장지(有龍無穴不葬地): 용(龍)은 있는데, 혈이 없으면 장사 지내지 마라.

(2) 유혈무인부장지(有穴無人不葬地): 혈(穴)은 있는데, 맞는 사람이 없으면 장사 지내지 마라.

(3) 유인무시부장지(有人無時不葬地): 사람은 있는데, 장사시간이 맞지 않으면 장사 지내지 마라.



◐ 요금정(寥金精)의 육계론(六戒論)


1. 물이 배반하고 달아나는 거수지(去水地)에는 장사하지 마라. 서 있는 자리(당대)에서 집안이 망하는 것을 볼 것이다.

<막하거수지 입견패가계(莫下去水地 立見敗家計)>

2. 칼등과 같은 용에서 혈을 찾지마라. 지사(地師)를 살인하는 땅이다.

<휴심검척룡 살사재기중(休尋劍脊龍 殺師在其中)>

3. 요풍혈(凹風穴)[청룡 백호의 허리가 끊겨 그 곳으로 불어오는 살풍(殺風)]이 부는 곳을 가장 꺼려하라. 결정적으로 그 집안 사람이 상하여 절손(絶孫)된다.

<최기요풍혈 결정인정절(最忌凹風穴 決定人丁絶)>

4. 안산(案山)이 없는 것을 거듭 혐오하라. 반드시 의식이 부족하여 가난 할 것이다.

<우혐무안산 의식필간난(又嫌無案山 衣食必艱難)>

5. 명당이 기울어진 곳을 두려워 하라. 분명 가업이 파(破)하리라.

<생파명당질 결시파가업(生怕明堂跌 決是破家業)>

6. 청룡, 백호가 한 쪽으로 치우쳐 비주(飛走)하는 것을 꺼려하라. 인구 즉 가족들이 뿔뿔이 흩어질 것이다.

<편증용호비 인구주분리(偏憎龍虎飛 人口主分離)>



◐ 주자(朱子)의 사혈기론(四穴忌論)


중국 송대(宋代)의 유학자(儒學者)인 주자가 주장한 장사(葬事)에서 기피할 4 혈기론이다.


(1)주룡(主龍)이 약해 혈의 역량이 부족한곳은 피하라, 물의 침해나, 벌레나 짐승이 들어가거나, 바람의 피해를 받으면 시골(屍骨)이 편치 못해 후손들이 큰 화(禍)를 당할 우려가 있다. 

(2) 시신을 깊게 매장하지 않으면 천재지변(天災地變) 등으로 관(棺)이 폭로(暴露)되는 변을 당할 수 있으므로 얕게 매장하지 마라.

(3) 비록 길지(吉地)라도 파묘(破墓)한 자리는 생기가 누설(漏泄)되어 온전한 역량이 부족한 곳이므로 피하라.

(4) 묘소 옆에서 여러 가지 공사 등을 하면 조상의 백(魄)이 놀라 재앙을 초래하게 되니 자제하라,


◐ 정자(程子)의 오환지(五患地)


(1) 타일불위도로(他日不爲道路): 후일에 도로가 생기지 않을 곳

(2) 불위성곽(不爲城郭): 성곽이 생기지 않을 곳

(3) 불위구지(不爲溝池): 도랑이나, 연못 저수지가 되지 않을 곳

(4) 불위귀세소탈(不爲貴勢所奪): 권세가(權勢家)에게 터를 빼앗기지 않을 곳

(5) 불위전답(不爲田畓): 전답으로 개간되지 않을 곳





728x90
반응형
Posted by 이방인야초